CAP 이론과 DB를 간략히 정리해 놓은 자료입니다.
'Database & Dat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황에 맞는 그래프 선 (0) | 2023.01.02 |
---|---|
LabVIEW 와 DB연동을 위한 전반적인 내용 입니다. (0) | 2020.04.20 |
JOIN 종류 도식화 (0) | 2018.08.09 |
일련 번호 중 빠진 번호 조회 (0) | 2017.09.18 |
세미나 동영상 [최적 데이터 구조 설계]-다운 가능 (0) | 2015.09.20 |
CAP 이론과 DB를 간략히 정리해 놓은 자료입니다.
상황에 맞는 그래프 선 (0) | 2023.01.02 |
---|---|
LabVIEW 와 DB연동을 위한 전반적인 내용 입니다. (0) | 2020.04.20 |
JOIN 종류 도식화 (0) | 2018.08.09 |
일련 번호 중 빠진 번호 조회 (0) | 2017.09.18 |
세미나 동영상 [최적 데이터 구조 설계]-다운 가능 (0) | 2015.09.20 |
Datagrip의 자동 포맷팅 기능은 기본적으로 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오히려 불편하기 때문에 비활성화하여 사용중 입니다.
[DataGrip] 쿼리에디터에 쿼리 실행 결과를 표시 (0) | 2023.07.13 |
---|---|
[DataGrip] 에디터 화면의 세로줄 제거 (0) | 2023.07.13 |
[DataGrip] 조회 결과 자동 갱신 (0) | 2023.07.12 |
[DataGrip] 자동완성 기능 해제 (괄호, 작은따옴표) (0) | 2022.07.03 |
[DataGrip 설정] SP/함수 호출시 인자 설명(hint) 표시 설정 (0) | 2021.06.13 |
- 무척 유용한 기능입니다.
[Datagrip] 쿼리 자동 포맷팅 해제 (0) | 2023.08.06 |
---|---|
[DataGrip] 에디터 화면의 세로줄 제거 (0) | 2023.07.13 |
[DataGrip] 조회 결과 자동 갱신 (0) | 2023.07.12 |
[DataGrip] 자동완성 기능 해제 (괄호, 작은따옴표) (0) | 2022.07.03 |
[DataGrip 설정] SP/함수 호출시 인자 설명(hint) 표시 설정 (0) | 2021.06.13 |
에디터 창에 세로줄이 표시되어 거슬릴 경우 해제 방법 입니다.
[Datagrip] 쿼리 자동 포맷팅 해제 (0) | 2023.08.06 |
---|---|
[DataGrip] 쿼리에디터에 쿼리 실행 결과를 표시 (0) | 2023.07.13 |
[DataGrip] 조회 결과 자동 갱신 (0) | 2023.07.12 |
[DataGrip] 자동완성 기능 해제 (괄호, 작은따옴표) (0) | 2022.07.03 |
[DataGrip 설정] SP/함수 호출시 인자 설명(hint) 표시 설정 (0) | 2021.06.13 |
DataGrip 에서 조회 결과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자동 갱신하는 기능입니다.
조회 결과에서 노란색 영역의 시계 아이콘을 클릭하셔서 자동 갱신할 시간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Datagrip] 쿼리 자동 포맷팅 해제 (0) | 2023.08.06 |
---|---|
[DataGrip] 쿼리에디터에 쿼리 실행 결과를 표시 (0) | 2023.07.13 |
[DataGrip] 에디터 화면의 세로줄 제거 (0) | 2023.07.13 |
[DataGrip] 자동완성 기능 해제 (괄호, 작은따옴표) (0) | 2022.07.03 |
[DataGrip 설정] SP/함수 호출시 인자 설명(hint) 표시 설정 (0) | 2021.06.13 |
제목을 어떻게 정의해야할지 모르겠어서 내용을 이미지로 올립니다.
jupyter notebook - excel 불러오기 (0) | 2022.09.21 |
---|---|
jupyter notebook - DB 접속 및 쿼리 실행 (0) | 2022.09.21 |
Jupyter notebook 이미지 추가 (0) | 2022.07.25 |
Jupyter Notebook 좌우 여백 최소화 (0) | 2022.07.23 |
- Show Global variables like '%%';
Variable_name | Value | Description |
activate_all_roles_on_login | OFF | |
admin_address | "" | |
admin_port | 33062 | |
admin_ssl_ca | "" | |
admin_ssl_capath | "" | |
admin_ssl_cert | "" | |
admin_ssl_cipher | "" | |
admin_ssl_crl | "" | |
admin_ssl_crlpath | "" | |
admin_ssl_key | "" | |
admin_tls_ciphersuites | "" | |
admin_tls_version | TLSv1,TLSv1.1,TLSv1.2,TLSv1.3 | |
auto_generate_certs | ON | |
auto_increment_increment | 1 | ✔️ Auto increment 컬럼의 증가값을 결정 |
auto_increment_offset | 1 | ✔️ Auto increment 컬럼의 초기 시작값을 지정 |
autocommit | ON | |
automatic_sp_privileges | ON | |
avoid_temporal_upgrade | OFF | |
back_log | 80 | |
basedir | C:\Program Files\MySQL\MySQL Server 8.0\ | |
big_tables | OFF | |
bind_address | * | |
binlog_cache_size | 32768 | |
binlog_checksum | CRC32 | |
binlog_direct_non_transactional_updates | OFF | |
binlog_encryption | OFF | |
binlog_error_action | ABORT_SERVER | |
binlog_expire_logs_seconds | 2592000 | |
binlog_format | ROW | ✔️ Replication Slave 서버는 이벤트를 지정된 포맷으로 읽는다. ✔️ STATEMENT(1): 명령문 기반 리플리케이션 ✔️ ROW(2): 열 기반 리플리케이션 ✔️ MIXED(3): 혼합 기반 리플리케이션 |
binlog_group_commit_sync_delay | 0 | |
binlog_group_commit_sync_no_delay_count | 0 | |
binlog_gtid_simple_recovery | ON | |
binlog_max_flush_queue_time | 0 | |
binlog_order_commits | ON | |
binlog_rotate_encryption_master_key_at_startup | OFF | |
binlog_row_event_max_size | 8192 | |
binlog_row_image | FULL | |
binlog_row_metadata | MINIMAL | |
binlog_row_value_options | "" | |
binlog_rows_query_log_events | OFF | |
binlog_stmt_cache_size | 32768 | |
binlog_transaction_compression | OFF | |
binlog_transaction_compression_level_zstd | 3 | |
binlog_transaction_dependency_history_size | 25000 | |
binlog_transaction_dependency_tracking | COMMIT_ORDER | |
block_encryption_mode | aes-128-ecb | |
bulk_insert_buffer_size | 8388608 | |
caching_sha2_password_auto_generate_rsa_keys | ON | |
caching_sha2_password_digest_rounds | 5000 | |
caching_sha2_password_private_key_path | private_key.pem | |
caching_sha2_password_public_key_path | public_key.pem | |
character_set_client | utf8mb4 | |
character_set_connection | utf8mb4 | |
character_set_database | utf8mb4 | |
character_set_filesystem | binary | |
character_set_results | utf8mb4 | |
character_set_server | utf8mb4 | |
character_set_system | utf8mb3 | |
character_sets_dir | C:\Program Files\MySQL\MySQL Server 8.0\share\charsets\ | |
check_proxy_users | OFF | |
collation_connection | utf8mb4_0900_ai_ci | |
collation_database | utf8mb4_0900_ai_ci | |
collation_server | utf8mb4_0900_ai_ci | |
completion_type | NO_CHAIN | |
concurrent_insert | AUTO | |
connect_timeout | 10 | ✔️ mysqld 서버가 불량 핸드셰이크로 응답하기 전에 연결 패킷을 기다리는 시간(초)입니다. ✔️ 기본값은 10초입니다. ✔️ 클라이언트에서 MySQL 서버에 대한 연결이 'XXX'에서 손실된 경우, 시스템 오류: errno 형식의 오류가 자주 발생하는 경우 connect_timeout 값을 증가시키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core_file | OFF | |
create_admin_listener_thread | OFF | |
cte_max_recursion_depth | 1000 | |
datadir | d:\MySQL\MySQL Server 8.0_25004\Data\ | |
default_authentication_plugin | mysql_native_password | |
default_collation_for_utf8mb4 | utf8mb4_0900_ai_ci | |
default_password_lifetime | 0 | |
default_storage_engine | InnoDB | |
default_table_encryption | OFF | |
default_tmp_storage_engine | InnoDB | |
default_week_format | 0 | |
delay_key_write | ON | |
delayed_insert_limit | 100 | |
delayed_insert_timeout | 300 | |
delayed_queue_size | 1000 | |
disabled_storage_engines | "" | |
disconnect_on_expired_password | ON | |
div_precision_increment | 4 | |
end_markers_in_json | OFF | |
enforce_gtid_consistency | OFF | |
eq_range_index_dive_limit | 200 | |
event_scheduler | ON | |
expire_logs_days | 0 | |
explicit_defaults_for_timestamp | ON | |
flush | OFF | |
flush_time | 0 | |
foreign_key_checks | ON | |
ft_boolean_syntax | "+ -><()~*:""""&|" | |
ft_max_word_len | 84 | |
ft_min_word_len | 4 | |
ft_query_expansion_limit | 20 | |
ft_stopword_file | (built-in) | |
general_log | OFF | |
general_log_file | DEV-DB133.log | |
generated_random_password_length | 20 | |
group_concat_max_len | 1024 | |
group_replication_consistency | EVENTUAL | |
gtid_executed | "" | |
gtid_executed_compression_period | 0 | |
gtid_mode | OFF | |
gtid_owned | "" | |
gtid_purged | "" | |
have_compress | YES | |
have_dynamic_loading | YES | |
have_geometry | YES | |
have_openssl | YES | |
have_profiling | YES | |
have_query_cache | NO | |
have_rtree_keys | YES | |
have_ssl | YES | |
have_statement_timeout | YES | |
have_symlink | DISABLED | |
histogram_generation_max_mem_size | 20000000 | |
host_cache_size | 628 | |
hostname | DEV-DB133 | |
information_schema_stats_expiry | 86400 | |
init_connect | "" | |
init_file | "" | |
init_replica | "" | |
init_slave | "" | |
innodb_adaptive_flushing | ON | |
innodb_adaptive_flushing_lwm | 10 | |
innodb_adaptive_hash_index | ON | |
innodb_adaptive_hash_index_parts | 8 | |
innodb_adaptive_max_sleep_delay | 150000 | |
innodb_api_bk_commit_interval | 5 | |
innodb_api_disable_rowlock | OFF | |
innodb_api_enable_binlog | OFF | |
innodb_api_enable_mdl | OFF | |
innodb_api_trx_level | 0 | |
innodb_autoextend_increment | 64 | |
innodb_autoinc_lock_mode | 2 | |
innodb_buffer_pool_chunk_size | 8388608 | |
innodb_buffer_pool_dump_at_shutdown | ON | |
innodb_buffer_pool_dump_now | OFF | |
innodb_buffer_pool_dump_pct | 25 | |
innodb_buffer_pool_filename | ib_buffer_pool | |
innodb_buffer_pool_in_core_file | ON | |
innodb_buffer_pool_instances | 1 | |
innodb_buffer_pool_load_abort | OFF | |
innodb_buffer_pool_load_at_startup | ON | |
innodb_buffer_pool_load_now | OFF | |
innodb_buffer_pool_size | 8388608 | |
innodb_change_buffer_max_size | 25 | |
innodb_change_buffering | all | |
innodb_checksum_algorithm | crc32 | |
innodb_cmp_per_index_enabled | OFF | |
innodb_commit_concurrency | 0 | |
innodb_compression_failure_threshold_pct | 5 | |
innodb_compression_level | 6 | |
innodb_compression_pad_pct_max | 50 | |
innodb_concurrency_tickets | 5000 | |
innodb_data_file_path | ibdata1:12M:autoextend | |
innodb_data_home_dir | "" | |
innodb_deadlock_detect | ON | |
innodb_dedicated_server | OFF | |
innodb_default_row_format | dynamic | |
innodb_directories | "" | |
innodb_disable_sort_file_cache | OFF | |
innodb_doublewrite | ON | |
innodb_doublewrite_batch_size | 0 | |
innodb_doublewrite_dir | "" | |
innodb_doublewrite_files | 2 | |
innodb_doublewrite_pages | 4 | |
innodb_extend_and_initialize | ON | |
innodb_fast_shutdown | 1 | |
innodb_file_per_table | ON | |
innodb_fill_factor | 100 | |
innodb_flush_log_at_timeout | 1 | |
innodb_flush_log_at_trx_commit | 1 | |
innodb_flush_method | unbuffered | |
innodb_flush_neighbors | 0 | |
innodb_flush_sync | ON | |
innodb_flushing_avg_loops | 30 | |
innodb_force_load_corrupted | OFF | |
innodb_force_recovery | 0 | |
innodb_fsync_threshold | 0 | |
innodb_ft_aux_table | "" | |
innodb_ft_cache_size | 8000000 | |
innodb_ft_enable_diag_print | OFF | |
innodb_ft_enable_stopword | ON | |
innodb_ft_max_token_size | 84 | |
innodb_ft_min_token_size | 3 | |
innodb_ft_num_word_optimize | 2000 | |
innodb_ft_result_cache_limit | 2000000000 | |
innodb_ft_server_stopword_table | "" | |
innodb_ft_sort_pll_degree | 2 | |
innodb_ft_total_cache_size | 640000000 | |
innodb_ft_user_stopword_table | "" | |
innodb_idle_flush_pct | 100 | |
innodb_io_capacity | 200 | |
innodb_io_capacity_max | 2000 | |
innodb_lock_wait_timeout | 50 | |
innodb_log_buffer_size | 1048576 | |
innodb_log_checksums | ON | |
innodb_log_compressed_pages | ON | |
innodb_log_file_size | 50331648 | |
innodb_log_files_in_group | 2 | |
innodb_log_group_home_dir | .\ | |
innodb_log_spin_cpu_abs_lwm | 80 | |
innodb_log_spin_cpu_pct_hwm | 50 | |
innodb_log_wait_for_flush_spin_hwm | 400 | |
innodb_log_write_ahead_size | 8192 | |
innodb_log_writer_threads | ON | |
innodb_lru_scan_depth | 1024 | |
innodb_max_dirty_pages_pct | 90.000000 | |
innodb_max_dirty_pages_pct_lwm | 10.000000 | |
innodb_max_purge_lag | 0 | |
innodb_max_purge_lag_delay | 0 | |
innodb_max_undo_log_size | 1073741824 | |
innodb_monitor_disable | "" | |
innodb_monitor_enable | "" | |
innodb_monitor_reset | "" | |
innodb_monitor_reset_all | "" | |
innodb_old_blocks_pct | 37 | |
innodb_old_blocks_time | 1000 | |
innodb_online_alter_log_max_size | 134217728 | |
innodb_open_files | 300 | |
innodb_optimize_fulltext_only | OFF | |
innodb_page_cleaners | 1 | |
innodb_page_size | 16384 | |
innodb_parallel_read_threads | 4 | |
innodb_print_all_deadlocks | OFF | |
innodb_print_ddl_logs | OFF | |
innodb_purge_batch_size | 300 | |
innodb_purge_rseg_truncate_frequency | 128 | |
innodb_purge_threads | 4 | |
innodb_random_read_ahead | OFF | |
innodb_read_ahead_threshold | 56 | |
innodb_read_io_threads | 4 | |
innodb_read_only | OFF | |
innodb_redo_log_archive_dirs | "" | |
innodb_redo_log_encrypt | OFF | |
innodb_replication_delay | 0 | |
innodb_rollback_on_timeout | OFF | |
innodb_rollback_segments | 128 | |
innodb_segment_reserve_factor | 12.500000 | |
innodb_sort_buffer_size | 1048576 | |
innodb_spin_wait_delay | 6 | |
innodb_spin_wait_pause_multiplier | 50 | |
innodb_stats_auto_recalc | ON | |
innodb_stats_include_delete_marked | OFF | |
innodb_stats_method | nulls_equal | |
innodb_stats_on_metadata | OFF | |
innodb_stats_persistent | ON | |
innodb_stats_persistent_sample_pages | 20 | |
innodb_stats_transient_sample_pages | 8 | |
innodb_status_output | OFF | |
innodb_status_output_locks | OFF | |
innodb_strict_mode | ON | |
innodb_sync_array_size | 1 | |
innodb_sync_spin_loops | 30 | |
innodb_table_locks | ON | |
innodb_temp_data_file_path | ibtmp1:12M:autoextend | |
innodb_temp_tablespaces_dir | .\#innodb_temp\ | |
innodb_thread_concurrency | 17 | |
innodb_thread_sleep_delay | 0 | |
innodb_tmpdir | "" | |
innodb_undo_directory | .\ | |
innodb_undo_log_encrypt | OFF | |
innodb_undo_log_truncate | ON | |
innodb_undo_tablespaces | 2 | |
innodb_use_fdatasync | OFF | |
innodb_use_native_aio | ON | |
innodb_validate_tablespace_paths | ON | |
innodb_version | 8.0.26 | |
innodb_write_io_threads | 4 | |
interactive_timeout | 28800 | |
internal_tmp_mem_storage_engine | TempTable | |
join_buffer_size | 262144 | |
keep_files_on_create | OFF | |
key_buffer_size | 8388608 | |
key_cache_age_threshold | 300 | |
key_cache_block_size | 1024 | |
key_cache_division_limit | 100 | |
keyring_operations | ON | |
large_files_support | ON | |
large_page_size | 0 | |
large_pages | OFF | |
lc_messages | en_US | |
lc_messages_dir | C:\Program Files\MySQL\MySQL Server 8.0\share\ | |
lc_time_names | en_US | |
license | GPL | |
local_infile | OFF | |
lock_wait_timeout | 31536000 | ✔️ lock 이 걸린 테이블에 질의를 할때 락이 풀리기 까지 대기할 시간 ✔️ innodb 테이블 에서도 본 시간에 따라 lock wait 후 "Lock wait timeout exceeded; try restarting transaction" 오류 발생 |
log_bin | ON | |
log_bin_basename | d:\MySQL\MySQL Server 8.0_25004\Data\DEV-DB133-bin | |
log_bin_index | d:\MySQL\MySQL Server 8.0_25004\Data\DEV-DB133-bin.index | |
log_bin_trust_function_creators | OFF | |
log_bin_use_v1_row_events | OFF | |
log_error | .\DEV-DB133.err | |
log_error_services | log_filter_internal; log_sink_internal | |
log_error_suppression_list | "" | |
log_error_verbosity | 2 | |
log_output | FILE | |
log_queries_not_using_indexes | OFF | ✔️ 인덱스를 사용하지 않은 쿼리도 slow query log에 기록함 |
log_raw | OFF | |
log_replica_updates | ON | |
log_slave_updates | ON | |
log_slow_admin_statements | OFF | |
log_slow_extra | OFF | |
log_slow_replica_statements | OFF | |
log_slow_slave_statements | OFF | |
log_statements_unsafe_for_binlog | ON | |
log_throttle_queries_not_using_indexes | 0 | |
log_timestamps | UTC | |
long_query_time | 1.000000 | |
low_priority_updates | OFF | |
lower_case_file_system | ON | |
lower_case_table_names | 1 | |
mandatory_roles | "" | |
master_info_repository | TABLE | |
master_verify_checksum | OFF | |
max_allowed_packet | 4194304 | |
max_binlog_cache_size | 18446744073709547520 | |
max_binlog_size | 1073741824 | |
max_binlog_stmt_cache_size | 18446744073709547520 | |
max_connect_errors | 100 | ✔️ 호스트 연속 연결 요청이 연결에 성공하지 못한 상태에서 중단되면 서버는 해당 호스트를 추가 연결에서 차단합니다. ✔️ 이전 연결이 중단된 후 max_connect_errors 시도 횟수보다 적은 시간 내에 호스트로부터의 연결이 성공적으로 설정된 경우 호스트의 오류 수는 0으로 지워집니다. ✔️ 차단된 호스트의 차단을 해제하려면 호스트 캐시를 플러시합니다. |
max_connections | 500 | ✔️ 최대 동시 클라이언트 연결 수입니다. |
max_delayed_threads | 20 | |
max_digest_length | 1024 | |
max_error_count | 1024 | |
max_execution_time | 0 | |
max_heap_table_size | 16777216 | |
max_insert_delayed_threads | 20 | |
max_join_size | 18446744073709551615 | |
max_length_for_sort_data | 4096 | |
max_points_in_geometry | 65536 | |
max_prepared_stmt_count | 16382 | |
max_relay_log_size | 0 | |
max_seeks_for_key | 4294967295 | |
max_sort_length | 1024 | |
max_sp_recursion_depth | 0 | |
max_user_connections | 0 | ✔️ 지정된 MySQL 사용자 계정에 허용된 최대 동시 연결 수입니다. ✔️ 값이 0(기본값)이면 "제한 없음"을 의미합니다. ✔️ 이 변수는 서버 시작 또는 런타임에 설정할 수 있는 전역 값을 가집니다. 또한 현재 세션과 연결된 계정에 적용되는 유효한 동시 연결 제한을 나타내는 읽기 전용 세션 값도 있습니다. ✔️ 세션 값은 다음과 같이 초기화됩니다. - 사용자 계정에 0이 아닌 MAX_USER_CONNECTION 리소스 제한이 있는 경우 세션 max_user_connections 값이 해당 제한으로 설정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세션 max_user_connections 값이 글로벌 값으로 설정됩니다. - 계정 리소스 제한은 CREATE USER 또는 ALTER USER 문을 사용하여 지정됩니다. |
max_write_lock_count | 4294967295 | |
min_examined_row_limit | 0 | |
myisam_data_pointer_size | 6 | |
myisam_max_sort_file_size | 107374182400 | |
myisam_mmap_size | 18446744073709551615 | |
myisam_recover_options | OFF | |
myisam_repair_threads | 1 | |
myisam_sort_buffer_size | 52428800 | |
myisam_stats_method | nulls_unequal | |
myisam_use_mmap | OFF | |
mysql_native_password_proxy_users | OFF | |
mysqlx_bind_address | * | |
mysqlx_compression_algorithms | DEFLATE_STREAM,LZ4_MESSAGE,ZSTD_STREAM | |
mysqlx_connect_timeout | 30 | |
mysqlx_deflate_default_compression_level | 3 | |
mysqlx_deflate_max_client_compression_level | 5 | |
mysqlx_document_id_unique_prefix | 0 | |
mysqlx_enable_hello_notice | ON | |
mysqlx_idle_worker_thread_timeout | 60 | |
mysqlx_interactive_timeout | 28800 | |
mysqlx_lz4_default_compression_level | 2 | |
mysqlx_lz4_max_client_compression_level | 8 | |
mysqlx_max_allowed_packet | 67108864 | |
mysqlx_max_connections | 100 | |
mysqlx_min_worker_threads | 2 | |
mysqlx_port | 33060 | |
mysqlx_port_open_timeout | 0 | |
mysqlx_read_timeout | 30 | |
mysqlx_socket | /tmp/mysqlx.sock | |
mysqlx_ssl_ca | "" | |
mysqlx_ssl_capath | "" | |
mysqlx_ssl_cert | "" | |
mysqlx_ssl_cipher | "" | |
mysqlx_ssl_crl | "" | |
mysqlx_ssl_crlpath | "" | |
mysqlx_ssl_key | "" | |
mysqlx_wait_timeout | 28800 | |
mysqlx_write_timeout | 60 | |
mysqlx_zstd_default_compression_level | 3 | |
mysqlx_zstd_max_client_compression_level | 11 | |
named_pipe | OFF | |
named_pipe_full_access_group | "" | |
net_buffer_length | 16384 | |
net_read_timeout | 30 | |
net_retry_count | 10 | |
net_write_timeout | 60 | |
new | OFF | |
ngram_token_size | 2 | |
offline_mode | OFF | |
old | OFF | |
old_alter_table | OFF | |
open_files_limit | 6558 | |
optimizer_prune_level | 1 | |
optimizer_search_depth | 62 | |
optimizer_switch | index_merge=on,index_merge_union=on,index_merge_sort_union=on,index_merge_intersection=on,engine_condition_pushdown=on,index_condition_pushdown=on,mrr=on,mrr_cost_based=on,block_nested_loop=on,batched_key_access=off,materialization=on,semijoin=on,loosescan=on,firstmatch=on,duplicateweedout=on,subquery_materialization_cost_based=on,use_index_extensions=on,condition_fanout_filter=on,derived_merge=on,use_invisible_indexes=off,skip_scan=on,hash_join=on,subquery_to_derived=off,prefer_ordering_index=on,hypergraph_optimizer=off,derived_condition_pushdown=on | |
optimizer_trace | enabled=off,one_line=off | |
optimizer_trace_features | greedy_search=on,range_optimizer=on,dynamic_range=on,repeated_subselect=on | |
optimizer_trace_limit | 1 | |
optimizer_trace_max_mem_size | 1048576 | |
optimizer_trace_offset | -1 | |
parser_max_mem_size | 18446744073709551615 | |
partial_revokes | OFF | |
password_history | 0 | |
password_require_current | OFF | |
password_reuse_interval | 0 | |
performance_schema | ON | |
performance_schema_accounts_size | -1 | |
performance_schema_digests_size | 10000 | |
performance_schema_error_size | 4946 | |
performance_schema_events_stages_history_long_size | 10000 | |
performance_schema_events_stages_history_size | 10 | |
performance_schema_events_statements_history_long_size | 10000 | |
performance_schema_events_statements_history_size | 10 | |
performance_schema_events_transactions_history_long_size | 10000 | |
performance_schema_events_transactions_history_size | 10 | |
performance_schema_events_waits_history_long_size | 10000 | |
performance_schema_events_waits_history_size | 10 | |
performance_schema_hosts_size | -1 | |
performance_schema_max_cond_classes | 100 | |
performance_schema_max_cond_instances | -1 | |
performance_schema_max_digest_length | 1024 | |
performance_schema_max_digest_sample_age | 60 | |
performance_schema_max_file_classes | 80 | |
performance_schema_max_file_handles | 32768 | |
performance_schema_max_file_instances | -1 | |
performance_schema_max_index_stat | -1 | |
performance_schema_max_memory_classes | 450 | |
performance_schema_max_metadata_locks | -1 | |
performance_schema_max_mutex_classes | 300 | |
performance_schema_max_mutex_instances | -1 | |
performance_schema_max_prepared_statements_instances | -1 | |
performance_schema_max_program_instances | -1 | |
performance_schema_max_rwlock_classes | 60 | |
performance_schema_max_rwlock_instances | -1 | |
performance_schema_max_socket_classes | 10 | |
performance_schema_max_socket_instances | -1 | |
performance_schema_max_sql_text_length | 1024 | |
performance_schema_max_stage_classes | 175 | |
performance_schema_max_statement_classes | 218 | |
performance_schema_max_statement_stack | 10 | |
performance_schema_max_table_handles | -1 | |
performance_schema_max_table_instances | -1 | |
performance_schema_max_table_lock_stat | -1 | |
performance_schema_max_thread_classes | 100 | |
performance_schema_max_thread_instances | -1 | |
performance_schema_session_connect_attrs_size | 512 | |
performance_schema_setup_actors_size | -1 | |
performance_schema_setup_objects_size | -1 | |
performance_schema_show_processlist | OFF | |
performance_schema_users_size | -1 | |
persist_only_admin_x509_subject | "" | |
persisted_globals_load | ON | |
pid_file | d:\MySQL\MySQL Server 8.0_25004\Data\DEV-DB133.pid | |
plugin_dir | C:\Program Files\MySQL\MySQL Server 8.0\lib\plugin\ | |
port | 25004 | |
preload_buffer_size | 32768 | |
print_identified_with_as_hex | OFF | |
profiling | OFF | |
profiling_history_size | 15 | |
protocol_compression_algorithms | zlib,zstd,uncompressed | |
protocol_version | 10 | |
query_alloc_block_size | 8192 | |
query_prealloc_size | 8192 | |
range_alloc_block_size | 4096 | |
range_optimizer_max_mem_size | 8388608 | |
rbr_exec_mode | STRICT | |
read_buffer_size | 65536 | |
read_only | OFF | |
read_rnd_buffer_size | 262144 | |
regexp_stack_limit | 8000000 | |
regexp_time_limit | 32 | |
relay_log | DEV-DB133-relay-bin | |
relay_log_basename | d:\MySQL\MySQL Server 8.0_25004\Data\DEV-DB133-relay-bin | |
relay_log_index | d:\MySQL\MySQL Server 8.0_25004\Data\DEV-DB133-relay-bin.index | |
relay_log_info_file | relay-log.info | |
relay_log_info_repository | TABLE | |
relay_log_purge | ON | |
relay_log_recovery | OFF | |
relay_log_space_limit | 0 | |
replica_allow_batching | OFF | |
replica_checkpoint_group | 512 | |
replica_checkpoint_period | 300 | |
replica_compressed_protocol | OFF | |
replica_exec_mode | STRICT | |
replica_load_tmpdir | C:\Windows\SERVIC~1\NETWOR~1\AppData\Local\Temp | |
replica_max_allowed_packet | 1073741824 | |
replica_net_timeout | 60 | |
replica_parallel_type | DATABASE | |
replica_parallel_workers | 0 | |
replica_pending_jobs_size_max | 134217728 | |
replica_preserve_commit_order | OFF | |
replica_skip_errors | OFF | |
replica_sql_verify_checksum | ON | |
replica_transaction_retries | 10 | |
replica_type_conversions | "" | |
replication_optimize_for_static_plugin_config | OFF | |
replication_sender_observe_commit_only | OFF | |
report_host | "" | |
report_password | "" | |
report_port | 25004 | |
report_user | "" | |
require_secure_transport | OFF | |
rpl_read_size | 8192 | |
rpl_stop_replica_timeout | 31536000 | |
rpl_stop_slave_timeout | 31536000 | |
schema_definition_cache | 256 | |
secondary_engine_cost_threshold | 100000.000000 | |
secure_file_priv | d:\MySQL\MySQL Server 8.0_25004\Uploads\ | |
select_into_buffer_size | 131072 | |
select_into_disk_sync | OFF | |
select_into_disk_sync_delay | 0 | |
server_id | 1 | |
server_id_bits | 32 | |
server_uuid | 29f4b9a | |
session_track_gtids | OFF | |
session_track_schema | ON | |
session_track_state_change | OFF | |
session_track_system_variables | time_zone,autocommit,character_set_client,character_set_results,character_set_connection | |
session_track_transaction_info | OFF | |
sha256_password_auto_generate_rsa_keys | ON | |
sha256_password_private_key_path | private_key.pem | |
sha256_password_proxy_users | OFF | |
sha256_password_public_key_path | public_key.pem | |
shared_memory | OFF | |
shared_memory_base_name | MYSQL | |
show_create_table_verbosity | OFF | |
show_old_temporals | OFF | |
skip_external_locking | ON | |
skip_name_resolve | OFF | |
skip_networking | OFF | |
skip_replica_start | OFF | |
skip_show_database | OFF | |
skip_slave_start | OFF | |
slave_allow_batching | OFF | |
slave_checkpoint_group | 512 | |
slave_checkpoint_period | 300 | |
slave_compressed_protocol | OFF | |
slave_exec_mode | STRICT | |
slave_load_tmpdir | C:\Windows\SERVIC~1\NETWOR~1\AppData\Local\Temp | |
slave_max_allowed_packet | 1073741824 | |
slave_net_timeout | 60 | |
slave_parallel_type | DATABASE | |
slave_parallel_workers | 0 | |
slave_pending_jobs_size_max | 134217728 | |
slave_preserve_commit_order | OFF | |
slave_rows_search_algorithms | INDEX_SCAN,HASH_SCAN | |
slave_skip_errors | OFF | |
slave_sql_verify_checksum | ON | |
slave_transaction_retries | 10 | |
slave_type_conversions | "" | |
slow_launch_time | 2 | |
slow_query_log | ON | |
slow_query_log_file | DEV-DB133-slow.log | |
socket | MySQL | |
sort_buffer_size | 262144 | |
source_verify_checksum | OFF | |
sql_auto_is_null | OFF | |
sql_big_selects | ON | |
sql_buffer_result | OFF | |
sql_log_off | OFF | |
sql_mode | STRICT_TRANS_TABLES,NO_ENGINE_SUBSTITUTION | |
sql_notes | ON | |
sql_quote_show_create | ON | |
sql_replica_skip_counter | 0 | |
sql_require_primary_key | OFF | |
sql_safe_updates | OFF | |
sql_select_limit | 18446744073709551615 | |
sql_slave_skip_counter | 0 | |
sql_warnings | OFF | |
ssl_ca | ca.pem | |
ssl_capath | "" | |
ssl_cert | server-cert.pem | |
ssl_cipher | "" | |
ssl_crl | "" | |
ssl_crlpath | "" | |
ssl_fips_mode | OFF | |
ssl_key | server-key.pem | |
stored_program_cache | 256 | |
stored_program_definition_cache | 256 | |
super_read_only | OFF | |
sync_binlog | 1 | |
sync_master_info | 10000 | |
sync_relay_log | 10000 | |
sync_relay_log_info | 10000 | |
sync_source_info | 10000 | |
system_time_zone | "" | |
table_definition_cache | 1400 | |
table_encryption_privilege_check | OFF | |
table_open_cache | 2000 | |
table_open_cache_instances | 16 | |
tablespace_definition_cache | 256 | |
temptable_max_mmap | 1073741824 | |
temptable_max_ram | 1073741824 | |
temptable_use_mmap | ON | |
terminology_use_previous | NONE | |
thread_cache_size | 10 | |
thread_handling | one-thread-per-connection | |
thread_stack | 286720 | |
time_zone | SYSTEM | |
tls_ciphersuites | "" | |
tls_version | TLSv1,TLSv1.1,TLSv1.2,TLSv1.3 | |
tmp_table_size | 30408704 | |
tmpdir | C:\Windows\SERVIC~1\NETWOR~1\AppData\Local\Temp | |
transaction_alloc_block_size | 8192 | |
transaction_isolation | REPEATABLE-READ | |
transaction_prealloc_size | 4096 | |
transaction_read_only | OFF | |
transaction_write_set_extraction | XXHASH64 | |
unique_checks | ON | |
updatable_views_with_limit | YES | |
version | 8.0.26 | |
version_comment | MySQL Community Server - GPL | |
version_compile_machine | x86_64 | |
version_compile_os | Win64 | |
version_compile_zlib | 1.2.11 | |
wait_timeout | 28800 | ✔️ 접속한 후 쿼리가 들어올 때까지 대기하는 시간. ✔️ 연결 후 지정된 사간동안 쿼리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연결을 강제로 종료함 ✔️ 접속이 많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에서는 이 값을 낮춰 Sleep 상태의 클라이언트들을 접속 해제하여 성능 향상을 볼 수 있다. ✔️ wait_timeout 에 걸려 접속이 해제되면 aborted_client 수가 상승하게 됨 ✔️ node.js 처럼 Connection Pool을 사용하는 시스템은 해당 값을 늘리는게 연결이 몰릴때 이점이 있음 ✔️ 단위: 초, default=8시간 |
windowing_use_high_precision | ON |
[MySQL][8.0.26] Global Status 설명 (0) | 2023.02.03 |
---|---|
MariaDB / MySQL 5.7 / MySQL 8.0 information_schema 의 Table 목록 비교 (0) | 2022.10.02 |
MariaDB / MySQL 5.7 / MySQL 8.0 performance_schema 환경변수 비교 (2) | 2022.09.24 |
MariaDB / MySQL 5.7 / MySQL 8.0 performance_schema 비교 (0) | 2022.09.24 |
[MySQL] str_to_date 함수 설명(오류 내용) (0) | 2022.07.04 |
Dashboard에 여러개의 그래프를 표시하는 경우
A그래프의 마우스 위치에 표시되는 지시선이 B, C, D 그래프에도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어야
그래프를 통한 분석이 편리합니다.
기본 설정은 마우스가 위치한 대상 그래프에만 지시선이 표시되기 때문에 설정을 수정해 주셔야 합니다.
Variable Name | Value(Example) | Description |
Aborted_clients | 0 | ≫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비 정상적으로 종료된 수 ≫ max_allowed_packet을 초과하는 쿼리는 비정상 적으로 중단된다. (default 4194304 byte) ≫ MySQL 연결을 닫지 않은 상태에서 Wait_timeout 설정에 의해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강제 종료한 경우 증가 ≫ |
Aborted_connects | 0 | ≫ MySQL 서버에 접속이 실패된 수 ≫ 값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해킹 시도를 의심해야 함 ≫ 실패 사유 : 계정정보 오류, 유효하지 않은 DB명 입력, 컨넥션 부족 ≫ 서버 재시작 시 초기화됨 |
Acl_cache_items_count | 0 | |
Binlog_cache_disk_use | 0 | |
Binlog_cache_use | 0 | |
Binlog_stmt_cache_disk_use | 0 | |
Binlog_stmt_cache_use | 0 | |
Bytes_received | 65418 | |
Bytes_sent | 1177448 | |
Caching_sha2_password_rsa_public_key | "-----BEGIN PUBLIC KEY----- -----END PUBLIC KEY-----" | |
Com_admin_commands | 11 | ≫ Com:서버가 실행된 후 각 명령어가 실행된 횟수 ≫ show status 명령어 실행시 마다 3~4씩 증가 |
Com_assign_to_keycache | 0 | |
Com_alter_db | 0 | ≫ alter db명령어가 실행된 횟수 |
Com_alter_event | 0 | |
Com_alter_function | 0 | |
Com_alter_instance | 0 | |
Com_alter_procedure | 0 | |
Com_alter_resource_group | 0 | |
Com_alter_server | 0 | |
Com_alter_table | 0 | |
Com_alter_tablespace | 0 | |
Com_alter_user | 0 | |
Com_alter_user_default_role | 0 | |
Com_analyze | 0 | |
Com_begin | 0 | |
Com_binlog | 0 | |
Com_call_procedure | 0 | |
Com_change_db | 2 | |
Com_change_master | 0 | |
Com_change_repl_filter | 0 | |
Com_change_replication_source | 0 | |
Com_check | 0 | |
Com_checksum | 0 | |
Com_clone | 0 | |
Com_commit | 0 | |
Com_create_db | 1 | ≫ create database 실행 횟수 ≫ 서버 재시작 시 초기화됨 |
Com_create_event | 0 | ≫ create event 실행 횟수 |
Com_create_function | 0 | |
Com_create_index | 0 | |
Com_create_procedure | 0 | |
Com_create_role | 0 | |
Com_create_server | 0 | |
Com_create_table | 34 | ≫ create table 실행 횟수 ≫ 서버 재시작 시 초기화됨 |
Com_create_resource_group | 0 | |
Com_create_trigger | 0 | |
Com_create_udf | 0 | |
Com_create_user | 0 | |
Com_create_view | 0 | |
Com_create_spatial_reference_system | 0 | |
Com_dealloc_sql | 0 | |
Com_delete | 0 | |
Com_delete_multi | 0 | |
Com_do | 0 | |
Com_drop_db | 0 | |
Com_drop_event | 0 | |
Com_drop_function | 0 | |
Com_drop_index | 0 | |
Com_drop_procedure | 0 | |
Com_drop_resource_group | 0 | |
Com_drop_role | 0 | |
Com_drop_server | 0 | |
Com_drop_spatial_reference_system | 0 | |
Com_drop_table | 0 | |
Com_drop_trigger | 0 | |
Com_drop_user | 0 | |
Com_drop_view | 0 | |
Com_empty_query | 0 | |
Com_execute_sql | 0 | |
Com_explain_other | 0 | |
Com_flush | 1 | ≫ flush status; 등의 명령을 수행한 횟수 |
Com_get_diagnostics | 0 | |
Com_grant | 0 | |
Com_grant_roles | 0 | |
Com_ha_close | 0 | |
Com_ha_open | 0 | |
Com_ha_read | 0 | |
Com_help | 0 | |
Com_import | 0 | |
Com_insert | 0 | |
Com_insert_select | 0 | |
Com_install_component | 0 | |
Com_install_plugin | 0 | |
Com_kill | 0 | |
Com_load | 0 | |
Com_lock_instance | 0 | |
Com_lock_tables | 0 | |
Com_optimize | 0 | |
Com_preload_keys | 0 | |
Com_prepare_sql | 0 | |
Com_purge | 0 | |
Com_purge_before_date | 0 | |
Com_release_savepoint | 0 | |
Com_rename_table | 0 | |
Com_rename_user | 0 | |
Com_repair | 0 | |
Com_replace | 0 | |
Com_replace_select | 0 | |
Com_reset | 0 | |
Com_resignal | 0 | |
Com_restart | 0 | |
Com_revoke | 0 | |
Com_revoke_all | 0 | |
Com_revoke_roles | 0 | |
Com_rollback | 0 | |
Com_rollback_to_savepoint | 0 | |
Com_savepoint | 0 | |
Com_select | 89 | |
Com_set_option | 385 | |
Com_set_password | 0 | |
Com_set_resource_group | 0 | |
Com_set_role | 0 | |
Com_signal | 0 | |
Com_show_binlog_events | 0 | |
Com_show_binlogs | 0 | |
Com_show_charsets | 0 | |
Com_show_collations | 0 | |
Com_show_create_db | 0 | |
Com_show_create_event | 0 | |
Com_show_create_func | 22 | |
Com_show_create_proc | 26 | |
Com_show_create_table | 79 | |
Com_show_create_trigger | 2 | |
Com_show_databases | 0 | |
Com_show_engine_logs | 0 | |
Com_show_engine_mutex | 0 | |
Com_show_engine_status | 0 | |
Com_show_events | 0 | |
Com_show_errors | 0 | |
Com_show_fields | 0 | |
Com_show_function_code | 0 | |
Com_show_function_status | 0 | |
Com_show_grants | 0 | |
Com_show_keys | 0 | |
Com_show_master_status | 0 | |
Com_show_open_tables | 0 | |
Com_show_plugins | 0 | |
Com_show_privileges | 0 | |
Com_show_procedure_code | 0 | |
Com_show_procedure_status | 0 | |
Com_show_processlist | 0 | |
Com_show_profile | 0 | |
Com_show_profiles | 0 | |
Com_show_relaylog_events | 0 | |
Com_show_replicas | 0 | |
Com_show_slave_hosts | 0 | |
Com_show_replica_status | 0 | |
Com_show_slave_status | 0 | |
Com_show_status | 2 | |
Com_show_storage_engines | 0 | |
Com_show_table_status | 0 | |
Com_show_tables | 0 | |
Com_show_triggers | 0 | |
Com_show_variables | 2 | |
Com_show_warnings | 413 | |
Com_show_create_user | 0 | |
Com_shutdown | 0 | |
Com_replica_start | 0 | |
Com_slave_start | 0 | |
Com_replica_stop | 0 | |
Com_slave_stop | 0 | |
Com_group_replication_start | 0 | |
Com_group_replication_stop | 0 | |
Com_stmt_execute | 0 | |
Com_stmt_close | 0 | |
Com_stmt_fetch | 0 | |
Com_stmt_prepare | 0 | |
Com_stmt_reset | 0 | |
Com_stmt_send_long_data | 0 | |
Com_truncate | 0 | |
Com_uninstall_component | 0 | |
Com_uninstall_plugin | 0 | |
Com_unlock_instance | 0 | |
Com_unlock_tables | 0 | |
Com_update | 0 | |
Com_update_multi | 0 | |
Com_xa_commit | 0 | |
Com_xa_end | 0 | |
Com_xa_prepare | 0 | |
Com_xa_recover | 0 | |
Com_xa_rollback | 0 | |
Com_xa_start | 0 | |
Com_stmt_reprepare | 0 | |
Connection_errors_accept | 0 | ≫ 수신 포트에서 수락 호출 중에 발생한 오류 수입니다. ≫ 서버 재시작 시 초기화됨 |
Connection_errors_internal | 0 | ≫ 새 스레드를 시작하지 못했거나 메모리 부족 상태와 같은 서버 내부 오류로 인해 거부된 연결 수입니다. ≫ 서버 재시작 시 초기화됨 |
Connection_errors_max_connections | 0 | ≫ 서버 max_connections 제한에 도달했기 때문에 거부된 연결 수입니다. ≫ 서버 재시작 시 초기화됨 |
Connection_errors_peer_address | 0 | ≫ 클라이언트 IP 주소를 연결하는 동안 발생한 오류 수입니다. ≫ 서버 재시작 시 초기화됨 |
Connection_errors_select | 0 | ≫ 수신 포트에서 select() 또는 pool()를 호출하는 동안 발생한 오류 수입니다. ≫ 이 작업이 실패했다고 해서 클라이언트 연결이 반드시 거부된 것은 아닙니다. |
Connection_errors_tcpwrap | 0 | ≫ libwrap 라이브러리에서 거부된 연결 수입니다. |
Connections | 9 | ≫ 서버 가동 후 연결 시도된 횟수 ≫ 실제 접속이 되지 않고 시도만 해도 값 증가 ≫ Access denied 이 되어도 수치 증가 |
Created_tmp_disk_tables | 4 | ≫ 임시테이블을 디스크에 생성한 횟수 ≫ 이 수치가 높으면 쿼리 처리를 위해 디스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뜻(성능 하락) |
Created_tmp_files | 4 | ≫ 임시파일 생성 횟수 |
Created_tmp_tables | 81 | ≫ 임시 테이블 생성 횟수 |
Current_tls_ca | ca.pem | |
Current_tls_capath | "" | |
Current_tls_cert | server-cert.pem | |
Current_tls_cipher | "" | |
Current_tls_ciphersuites | "" | |
Current_tls_crl | "" | |
Current_tls_crlpath | "" | |
Current_tls_key | server-key.pem | |
Current_tls_version | TLSv1,TLSv1.1,TLSv1.2,TLSv1.3 | |
Delayed_errors | 0 | |
Delayed_insert_threads | 0 | ≫ 사용중인 insert handler threads가 지연되고 있는 수 |
Delayed_writes | 0 | ≫ INSERT DELAYED로 쓰여진 rows수 |
Error_log_buffered_bytes | 147912 | ≫ performance_schema.error_log 의 Byte수 ≫ MySQL 8.0.22에서 추가 |
Error_log_buffered_events | 1032 | ≫ performance_schema.error_log 의 Row 수 |
Error_log_expired_events | 0 | |
Error_log_latest_write | 1675386451298063 | ≫ performance_schema.error_log 테이블에 마지막으로 기록한 시간 |
Flush_commands | 3 | |
Handler_commit | 2369 | |
Handler_delete | 0 | |
Handler_discover | 0 | |
Handler_external_lock | 15409 | |
Handler_mrr_init | 0 | |
Handler_prepare | 0 | |
Handler_read_first | 114 | |
Handler_read_key | 11478 | |
Handler_read_last | 0 | |
Handler_read_next | 17529 | |
Handler_read_prev | 0 | |
Handler_read_rnd | 3991 | |
Handler_read_rnd_next | 9840 | |
Handler_rollback | 0 | |
Handler_savepoint | 0 | |
Handler_savepoint_rollback | 0 | |
Handler_update | 318 | |
Handler_write | 6208 | |
Innodb_buffer_pool_dump_status | Dumping of buffer pool not started | |
Innodb_buffer_pool_load_status | Buffer pool(s) load completed at 230203 10:07:31 | |
Innodb_buffer_pool_resize_status | "" | |
Innodb_buffer_pool_pages_data | 2267 | |
Innodb_buffer_pool_bytes_data | 37142528 | |
Innodb_buffer_pool_pages_dirty | 0 | |
Innodb_buffer_pool_bytes_dirty | 0 | |
Innodb_buffer_pool_pages_flushed | 217 | |
Innodb_buffer_pool_pages_free | 259829 | |
Innodb_buffer_pool_pages_misc | 48 | |
Innodb_buffer_pool_pages_total | 262144 | |
Innodb_buffer_pool_read_ahead_rnd | 0 | |
Innodb_buffer_pool_read_ahead | 0 | |
Innodb_buffer_pool_read_ahead_evicted | 0 | |
Innodb_buffer_pool_read_requests | 63821 | |
Innodb_buffer_pool_reads | 2123 | |
Innodb_buffer_pool_wait_free | 0 | |
Innodb_buffer_pool_write_requests | 1958 | |
Innodb_data_fsyncs | 125 | |
Innodb_data_pending_fsyncs | 0 | |
Innodb_data_pending_reads | 0 | |
Innodb_data_pending_writes | 0 | |
Innodb_data_read | 34853888 | |
Innodb_data_reads | 2149 | |
Innodb_data_writes | 372 | |
Innodb_data_written | 3638272 | |
Innodb_dblwr_pages_written | 72 | |
Innodb_dblwr_writes | 29 | |
Innodb_log_waits | 0 | |
Innodb_log_write_requests | 812 | |
Innodb_log_writes | 77 | |
Innodb_os_log_fsyncs | 59 | |
Innodb_os_log_pending_fsyncs | 0 | |
Innodb_os_log_pending_writes | 0 | |
Innodb_os_log_written | 64000 | |
Innodb_page_size | 16384 | |
Innodb_pages_created | 146 | |
Innodb_pages_read | 2122 | |
Innodb_pages_written | 217 | |
Innodb_redo_log_enabled | ON | |
Innodb_row_lock_current_waits | 0 | |
Innodb_row_lock_time | 0 | |
Innodb_row_lock_time_avg | 0 | |
Innodb_row_lock_time_max | 0 | |
Innodb_row_lock_waits | 0 | |
Innodb_rows_deleted | 0 | |
Innodb_rows_inserted | 0 | |
Innodb_rows_read | 0 | |
Innodb_rows_updated | 0 | |
Innodb_system_rows_deleted | 0 | |
Innodb_system_rows_inserted | 38 | |
Innodb_system_rows_read | 22621 | |
Innodb_system_rows_updated | 318 | |
Innodb_sampled_pages_read | 0 | |
Innodb_sampled_pages_skipped | 0 | |
Innodb_num_open_files | 19 | |
Innodb_truncated_status_writes | 0 | |
Innodb_undo_tablespaces_total | 2 | |
Innodb_undo_tablespaces_implicit | 2 | |
Innodb_undo_tablespaces_explicit | 0 | |
Innodb_undo_tablespaces_active | 2 | |
Key_blocks_not_flushed | 0 | |
Key_blocks_unused | 6698 | |
Key_blocks_used | 0 | |
Key_read_requests | 0 | |
Key_reads | 0 | |
Key_write_requests | 0 | |
Key_writes | 0 | |
Locked_connects | 0 | |
Max_execution_time_exceeded | 0 | |
Max_execution_time_set | 0 | |
Max_execution_time_set_failed | 0 | |
Max_used_connections | 1 | 최대로 동시에 접속한 수 |
Max_used_connections_time | 2023-02-03 13:58:30 | 최대로 동시에 접속한 시각 |
Mysqlx_aborted_clients | 0 | |
Mysqlx_address | :: | |
Mysqlx_bytes_received | 0 | |
Mysqlx_bytes_received_compressed_payload | 0 | |
Mysqlx_bytes_received_uncompressed_frame | 0 | |
Mysqlx_bytes_sent | 0 | |
Mysqlx_bytes_sent_compressed_payload | 0 | |
Mysqlx_bytes_sent_uncompressed_frame | 0 | |
Mysqlx_compression_algorithm | "" | |
Mysqlx_compression_level | "" | |
Mysqlx_connection_accept_errors | 0 | |
Mysqlx_connection_errors | 0 | |
Mysqlx_connections_accepted | 0 | |
Mysqlx_connections_closed | 0 | |
Mysqlx_connections_rejected | 0 | |
Mysqlx_crud_create_view | 0 | |
Mysqlx_crud_delete | 0 | |
Mysqlx_crud_drop_view | 0 | |
Mysqlx_crud_find | 0 | |
Mysqlx_crud_insert | 0 | |
Mysqlx_crud_modify_view | 0 | |
Mysqlx_crud_update | 0 | |
Mysqlx_cursor_close | 0 | |
Mysqlx_cursor_fetch | 0 | |
Mysqlx_cursor_open | 0 | |
Mysqlx_errors_sent | 0 | |
Mysqlx_errors_unknown_message_type | 0 | |
Mysqlx_expect_close | 0 | |
Mysqlx_expect_open | 0 | |
Mysqlx_init_error | 0 | |
Mysqlx_messages_sent | 0 | |
Mysqlx_notice_global_sent | 0 | |
Mysqlx_notice_other_sent | 0 | |
Mysqlx_notice_warning_sent | 0 | |
Mysqlx_notified_by_group_replication | 0 | |
Mysqlx_port | 33060 | |
Mysqlx_prep_deallocate | 0 | |
Mysqlx_prep_execute | 0 | |
Mysqlx_prep_prepare | 0 | |
Mysqlx_rows_sent | 0 | |
Mysqlx_sessions | 0 | |
Mysqlx_sessions_accepted | 0 | |
Mysqlx_sessions_closed | 0 | |
Mysqlx_sessions_fatal_error | 0 | |
Mysqlx_sessions_killed | 0 | |
Mysqlx_sessions_rejected | 0 | |
Mysqlx_socket | UNDEFINED | |
Mysqlx_ssl_accepts | 0 | |
Mysqlx_ssl_active | ||
Mysqlx_ssl_cipher | ||
Mysqlx_ssl_cipher_list | ||
Mysqlx_ssl_ctx_verify_depth | 18446744073709551615 | |
Mysqlx_ssl_ctx_verify_mode | 5 | |
Mysqlx_ssl_finished_accepts | 0 | |
Mysqlx_ssl_server_not_after | Sep 25 01:18:46 2031 GMT | |
Mysqlx_ssl_server_not_before | Sep 27 01:18:46 2021 GMT | |
Mysqlx_ssl_verify_depth | ||
Mysqlx_ssl_verify_mode | ||
Mysqlx_ssl_version | ||
Mysqlx_stmt_create_collection | 0 | |
Mysqlx_stmt_create_collection_index | 0 | |
Mysqlx_stmt_disable_notices | 0 | |
Mysqlx_stmt_drop_collection | 0 | |
Mysqlx_stmt_drop_collection_index | 0 | |
Mysqlx_stmt_enable_notices | 0 | |
Mysqlx_stmt_ensure_collection | 0 | |
Mysqlx_stmt_execute_mysqlx | 0 | |
Mysqlx_stmt_execute_sql | 0 | |
Mysqlx_stmt_execute_xplugin | 0 | |
Mysqlx_stmt_get_collection_options | 0 | |
Mysqlx_stmt_kill_client | 0 | |
Mysqlx_stmt_list_clients | 0 | |
Mysqlx_stmt_list_notices | 0 | |
Mysqlx_stmt_list_objects | 0 | |
Mysqlx_stmt_modify_collection_options | 0 | |
Mysqlx_stmt_ping | 0 | |
Mysqlx_worker_threads | 2 | |
Mysqlx_worker_threads_active | 0 | |
Not_flushed_delayed_rows | 0 | |
Ongoing_anonymous_transaction_count | 0 | |
Open_files | 3 | |
Open_streams | 0 | |
Open_table_definitions | 209 | |
Open_tables | 164 | |
Opened_files | 3 | |
Opened_table_definitions | 246 | |
Opened_tables | 299 | |
Performance_schema_account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cond_classe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cond_instance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digest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file_classe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file_handle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file_instance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host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index_stat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locker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memory_classe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metadata_lock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mutex_classe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mutex_instance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nested_statement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prepared_statement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program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rwlock_classe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rwlock_instance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session_connect_attrs_longest_seen | 131 | |
Performance_schema_session_connect_attr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socket_classe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socket_instance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stage_classe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statement_classe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table_handle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table_instance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table_lock_stat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thread_classe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thread_instances_lost | 0 | |
Performance_schema_users_lost | 0 | |
Prepared_stmt_count | 0 | |
Queries | 1030 | |
Questions | 1018 | |
Replica_open_temp_tables | 0 | |
Rsa_public_key | "-----BEGIN PUBLIC KEY----- -----END PUBLIC KEY-----" | |
Secondary_engine_execution_count | 0 | |
Select_full_join | 18 | |
Select_full_range_join | 0 | |
Select_range | 0 | |
Select_range_check | 0 | |
Select_scan | 84 | |
Slave_open_temp_tables | 0 | |
Slow_launch_threads | 0 | |
Slow_queries | 0 | |
Sort_merge_passes | 0 | |
Sort_range | 0 | |
Sort_rows | 4003 | |
Sort_scan | 24 | |
Ssl_accept_renegotiates | 0 | |
Ssl_accepts | 2 | |
Ssl_callback_cache_hits | 0 | |
Ssl_cipher | TLS_AES_256_GCM_SHA384 | |
Ssl_cipher_list | TLS_AES_256_GCM_SHA384 | |
Ssl_client_connects | 0 | |
Ssl_connect_renegotiates | 0 | |
Ssl_ctx_verify_depth | 4294967295 | |
Ssl_ctx_verify_mode | 5 | |
Ssl_default_timeout | 7200 | |
Ssl_finished_accepts | 2 | |
Ssl_finished_connects | 0 | |
Ssl_server_not_after | Sep 25 01:18:46 2031 GMT | |
Ssl_server_not_before | Sep 27 01:18:46 2021 GMT | |
Ssl_session_cache_hits | 0 | |
Ssl_session_cache_misses | 0 | |
Ssl_session_cache_mode | SERVER | |
Ssl_session_cache_overflows | 0 | |
Ssl_session_cache_size | 128 | |
Ssl_session_cache_timeouts | 0 | |
Ssl_sessions_reused | 0 | |
Ssl_used_session_cache_entries | 0 | |
Ssl_verify_depth | 4294967295 | |
Ssl_verify_mode | 5 | |
Ssl_version | TLSv1.3 | |
Table_locks_immediate | 4 | 즉식 획득한 테이블 락 횟수 |
Table_locks_waited | 0 | 테이블 락을 즉시 획득하지 못하고 대기한 횟수 |
Table_open_cache_hits | 7686 | |
Table_open_cache_misses | 299 | |
Table_open_cache_overflows | 54 | |
Tc_log_max_pages_used | 0 | |
Tc_log_page_size | 0 | |
Tc_log_page_waits | 0 | |
Threads_cached | 0 | Thread Cache의 Thread 수 |
Threads_connected | 1 | 현재 연결된 Thread 수 |
Threads_created | 1 | 접속을 위해 생성된 Thread 수 |
Threads_running | 2 | Sleeping 되어 있지 않은 Thread 수 |
Uptime | 13895 | MySQL이 가동중인 시간 |
Uptime_since_flush_status | 13895 |
[MySQL][8.0.26] Global Variables 설명 (0) | 2023.02.17 |
---|---|
MariaDB / MySQL 5.7 / MySQL 8.0 information_schema 의 Table 목록 비교 (0) | 2022.10.02 |
MariaDB / MySQL 5.7 / MySQL 8.0 performance_schema 환경변수 비교 (2) | 2022.09.24 |
MariaDB / MySQL 5.7 / MySQL 8.0 performance_schema 비교 (0) | 2022.09.24 |
[MySQL] str_to_date 함수 설명(오류 내용) (0) | 2022.07.04 |
표시하려는 데이터의 구성에 맞는 그래프 선택법 입니다.
CAP 이론 도식화 자료 (0) | 2025.02.22 |
---|---|
LabVIEW 와 DB연동을 위한 전반적인 내용 입니다. (0) | 2020.04.20 |
JOIN 종류 도식화 (0) | 2018.08.09 |
일련 번호 중 빠진 번호 조회 (0) | 2017.09.18 |
세미나 동영상 [최적 데이터 구조 설계]-다운 가능 (0) | 2015.09.20 |
MySQL / Mariadb 간 버전별 information_schema DB의 테이블 정보 비교 표 입니다.
MariaDB 10.1.48 | MySQL 8.0.30 | MySQL 5.7.37 | Description |
ADMINISTRABLE_ROLE_AUTHORIZATIONS | |||
ALL_PLUGINS | 플러그인 설치여부 및 버전 정보 | ||
APPLICABLE_ROLES | APPLICABLE_ROLES | ||
CHANGED_PAGE_BITMAPS | |||
CHARACTER_SETS | CHARACTER_SETS | CHARACTER_SETS | 지원하는 캐릭터셋 목록 |
CHECK_CONSTRAINTS | |||
CLIENT_STATISTICS | |||
COLLATIONS | COLLATIONS | COLLATIONS | 지원하는 Collations 목록 |
COLLATION_CHARACTER_SET_APPLICABILITY | COLLATION_CHARACTER_SET_APPLICABILITY | COLLATION_CHARACTER_SET_APPLICABILITY | 캐릭터셋 과 Collation 맵핑 |
COLUMN_PRIVILEGES | COLUMN_PRIVILEGES | COLUMN_PRIVILEGES | |
COLUMN_STATISTICS | |||
COLUMNS | COLUMNS | COLUMNS | DB별 컬럼 목록(정보) |
COLUMNS_EXTENSIONS | |||
ENABLED_ROLES | ENABLED_ROLES | ||
ENGINES | ENGINES | ENGINES | |
EVENTS | EVENTS | EVENTS | |
FILES | FILES | FILES | |
GEOMETRY_COLUMNS | |||
GLOBAL_STATUS | GLOBAL_STATUS | ||
GLOBAL_VARIABLES | GLOBAL_VARIABLES | ||
INDEX_STATISTICS | |||
INNODB_BUFFER_PAGE | INNODB_BUFFER_PAGE | INNODB_BUFFER_PAGE | |
INNODB_BUFFER_PAGE_LRU | INNODB_BUFFER_PAGE_LRU | INNODB_BUFFER_PAGE_LRU | |
INNODB_BUFFER_POOL_STATS | INNODB_BUFFER_POOL_STATS | INNODB_BUFFER_POOL_STATS | |
INNODB_CHANGED_PAGES | |||
INNODB_CACHED_INDEXES | |||
INNODB_CMP | INNODB_CMP | INNODB_CMP | |
INNODB_CMPMEM | INNODB_CMPMEM | ||
INNODB_CMPMEM_RESET | INNODB_CMPMEM_RESET | ||
INNODB_CMP_PER_INDEX | INNODB_CMP_PER_INDEX | INNODB_CMP_PER_INDEX | |
INNODB_CMP_PER_INDEX_RESET | INNODB_CMP_PER_INDEX_RESET | INNODB_CMP_PER_INDEX_RESET | |
INNODB_CMP_RESET | INNODB_CMP_RESET | INNODB_CMP_RESET | |
INNODB_CMPMEM | |||
INNODB_CMPMEM_RESET | |||
INNODB_COLUMNS | |||
INNODB_DATAFILES | |||
INNODB_FIELDS | |||
INNODB_FOREIGN | |||
INNODB_FOREIGN_COLS | |||
INNODB_FT_BEING_DELETED | INNODB_FT_BEING_DELETED | INNODB_FT_BEING_DELETED | |
INNODB_FT_CONFIG | INNODB_FT_CONFIG | INNODB_FT_CONFIG | |
INNODB_FT_DEFAULT_STOPWORD | INNODB_FT_DEFAULT_STOPWORD | INNODB_FT_DEFAULT_STOPWORD | |
INNODB_FT_DELETED | INNODB_FT_DELETED | INNODB_FT_DELETED | |
INNODB_FT_INDEX_CACHE | INNODB_FT_INDEX_CACHE | INNODB_FT_INDEX_CACHE | |
INNODB_FT_INDEX_TABLE | INNODB_FT_INDEX_TABLE | INNODB_FT_INDEX_TABLE | |
INNODB_INDEXES | |||
INNODB_LOCKS | INNODB_LOCKS | ||
INNODB_LOCK_WAITS | INNODB_LOCK_WAITS | ||
INNODB_METRICS | INNODB_METRICS | INNODB_METRICS | |
INNODB_SESSION_TEMP_TABLESPACES | |||
INNODB_TABLES | |||
INNODB_TABLESPACES | |||
INNODB_TABLESPACES_BRIEF | |||
INNODB_TABLESTATS | |||
INNODB_MUTEXES | |||
INNODB_SYS_COLUMNS | INNODB_SYS_COLUMNS | ||
INNODB_SYS_DATAFILES | INNODB_SYS_DATAFILES | ||
INNODB_SYS_FIELDS | INNODB_SYS_FIELDS | ||
INNODB_SYS_FOREIGN | INNODB_SYS_FOREIGN | ||
INNODB_SYS_FOREIGN_COLS | INNODB_SYS_FOREIGN_COLS | ||
INNODB_SYS_INDEXES | INNODB_SYS_INDEXES | ||
INNODB_SYS_SEMAPHORE_WAITS | |||
INNODB_SYS_TABLES | INNODB_SYS_TABLES | ||
INNODB_SYS_TABLESPACES | INNODB_SYS_TABLESPACES | ||
INNODB_SYS_TABLESTATS | INNODB_SYS_TABLESTATS | ||
INNODB_TABLESPACES_ENCRYPTION | |||
INNODB_TABLESPACES_SCRUBBING | |||
INNODB_SYS_VIRTUAL | |||
INNODB_TEMP_TABLE_INFO | INNODB_TEMP_TABLE_INFO | ||
INNODB_TRX | INNODB_TRX | INNODB_TRX | |
KEY_CACHES | |||
INNODB_VIRTUAL | |||
KEY_COLUMN_USAGE | KEY_COLUMN_USAGE | KEY_COLUMN_USAGE | |
KEYWORDS | |||
OPTIMIZER_TRACE | OPTIMIZER_TRACE | ||
PARAMETERS | PARAMETERS | PARAMETERS | |
PARTITIONS | PARTITIONS | PARTITIONS | |
PLUGINS | PLUGINS | PLUGINS | |
PROCESSLIST | PROCESSLIST | PROCESSLIST | |
PROFILING | PROFILING | PROFILING | |
REFERENTIAL_CONSTRAINTS | REFERENTIAL_CONSTRAINTS | REFERENTIAL_CONSTRAINTS | |
RESOURCE_GROUPS | |||
ROLE_COLUMN_GRANTS | |||
ROLE_ROUTINE_GRANTS | |||
ROLE_TABLE_GRANTS | |||
ROUTINES | ROUTINES | ROUTINES | |
SCHEMATA | SCHEMATA | SCHEMATA | |
SCHEMA_PRIVILEGES | SCHEMA_PRIVILEGES | SCHEMA_PRIVILEGES | |
SESSION_STATUS | SESSION_STATUS | ||
SESSION_VARIABLES | SESSION_VARIABLES | ||
SPATIAL_REF_SYS | |||
SCHEMATA_EXTENSIONS | |||
ST_GEOMETRY_COLUMNS | |||
ST_SPATIAL_REFERENCE_SYSTEMS | |||
ST_UNITS_OF_MEASURE | |||
STATISTICS | STATISTICS | STATISTICS | |
SYSTEM_VARIABLES | |||
TABLES | TABLES | TABLES | |
TABLES_EXTENSIONS | |||
TABLESPACES | TABLESPACES | TABLESPACES | |
TABLE_CONSTRAINTS | TABLE_CONSTRAINTS | TABLE_CONSTRAINTS | |
TABLE_CONSTRAINTS_EXTENSIONS | |||
TABLE_PRIVILEGES | TABLE_PRIVILEGES | TABLE_PRIVILEGES | |
TABLESPACES_EXTENSIONS | |||
TABLE_STATISTICS | |||
TRIGGERS | TRIGGERS | TRIGGERS | |
USER_ATTRIBUTES | |||
USER_PRIVILEGES | USER_PRIVILEGES | USER_PRIVILEGES | |
USER_STATISTICS | |||
VIEW_ROUTINE_USAGE | |||
VIEW_TABLE_USAGE | |||
VIEWS | VIEWS | VIEWS | |
XTRADB_INTERNAL_HASH_TABLES | |||
XTRADB_READ_VIEW | |||
XTRADB_RSEG |
[MySQL][8.0.26] Global Variables 설명 (0) | 2023.02.17 |
---|---|
[MySQL][8.0.26] Global Status 설명 (0) | 2023.02.03 |
MariaDB / MySQL 5.7 / MySQL 8.0 performance_schema 환경변수 비교 (2) | 2022.09.24 |
MariaDB / MySQL 5.7 / MySQL 8.0 performance_schema 비교 (0) | 2022.09.24 |
[MySQL] str_to_date 함수 설명(오류 내용) (0) | 2022.07.04 |
MySQL에서 performance_schema 를 활성화 한 이후 설정 가능한 환경변수 목록 입니다.
변경할 필요가 많지 않습니다.
Variable_name | Value | Variable_name | Value | Variable_name | Value | Description |
performance_schema | ON | performance_schema | ON | performance_schema | ON | 성능 모니터링 사용 여부 |
performance_schema_accounts_size | 100 | performance_schema_accounts_size | -1 | performance_schema_accounts_size | -1 | performance_schema.accounts 테이블 의 최대 행 수 |
performance_schema_digests_size | 5000 | performance_schema_digests_size | 10000 | performance_schema_digests_size | 10000 | events_statements_summary_by_digest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는 최대 행 수입니다 |
performance_schema_error_size | 5153 | |||||
performance_schema_events_stages_history_long_size | 1000 | performance_schema_events_stages_history_long_size | 10000 | performance_schema_events_stages_history_long_size | 10000 | events_stages_history_long 테이블 의 행 수입니다 . |
performance_schema_events_stages_history_size | 10 | performance_schema_events_stages_history_size | 10 | performance_schema_events_stages_history_size | 10 | events_stages_history 테이블의 스레드당 행 수입니다 . |
performance_schema_events_statements_history_long_size | 1000 | performance_schema_events_statements_history_long_size | 10000 | performance_schema_events_statements_history_long_size | 10000 | events_statements_history_long 테이블 의 행 수입니다 . |
performance_schema_events_statements_history_size | 10 | performance_schema_events_statements_history_size | 10 | performance_schema_events_statements_history_size | 10 | events_statements_history 테이블의 스레드당 행 수입니다 . |
performance_schema_events_transactions_history_long_size | 10000 | performance_schema_events_transactions_history_long_size | 10000 | events_transactions_history_long 테이블 의 행 수입니다 | ||
performance_schema_events_transactions_history_size | 10 | performance_schema_events_transactions_history_size | 10 | events_transactions_history 의 스레드당 행 수입니다 . | ||
performance_schema_events_waits_history_long_size | 1000 | performance_schema_events_waits_history_long_size | 10000 | performance_schema_events_waits_history_long_size | 10000 | events_waits_history_long 테이블에 포함된 행 수입니다 . |
performance_schema_events_waits_history_size | 10 | performance_schema_events_waits_history_size | 10 | performance_schema_events_waits_history_size | 10 | events_waits_history 테이블에 포함된 스레드당 행 수입니다 . |
performance_schema_hosts_size | 100 | performance_schema_hosts_size | -1 | performance_schema_hosts_size | -1 | 호스트 테이블에 저장된 행 수입니다 . 0으로 설정하면 호스트 테이블에 대한 연결 통계가 유지되지 않습니다. |
performance_schema_max_cond_classes | 80 | performance_schema_max_cond_classes | 150 | performance_schema_max_cond_classes | 80 | 최대 조건 계측기 수를 지정합니다. |
performance_schema_max_cond_instances | 1360 | performance_schema_max_cond_instances | -1 | performance_schema_max_cond_instances | -1 | 계측된 조건 개체의 최대 수를 지정합니다. |
performance_schema_max_digest_length | 1024 | performance_schema_max_digest_length | 1024 | performance_schema_max_digest_length | 1024 | performance_schema 테이블에 저장 될 때 요약 텍스트에 고려되는 최대 길이입니다. |
performance_schema_max_digest_sample_age | 60 | |||||
performance_schema_max_file_classes | 50 | performance_schema_max_file_classes | 80 | performance_schema_max_file_classes | 80 | 최대 파일 악기 수를 지정합니다. |
performance_schema_max_file_handles | 32768 | performance_schema_max_file_handles | 32768 | performance_schema_max_file_handles | 32768 | 열린 최대 파일 개체 수를 지정합니다. 항상 open_files_limit 보다 높아야 합니다. |
performance_schema_max_file_instances | 2500 | performance_schema_max_file_instances | -1 | performance_schema_max_file_instances | -1 | 계측된 파일 개체의 최대 수를 지정합니다. |
performance_schema_max_index_stat | -1 | performance_schema_max_index_stat | -1 | 계측된 테이블에 대한 최대 인덱스 통계 수입니다. | ||
performance_schema_max_memory_classes | 450 | performance_schema_max_memory_classes | 320 | 메모리 풀 기기의 최대 수입니다. | ||
performance_schema_max_metadata_locks | -1 | performance_schema_max_metadata_locks | -1 | 성능 스키마 메타데이터 잠금 의 최대 수입니다. | ||
performance_schema_max_mutex_classes | 200 | performance_schema_max_mutex_classes | 350 | performance_schema_max_mutex_classes | 210 | 최대 뮤텍스 기기 수를 지정합니다. |
performance_schema_max_mutex_instances | 5648 | performance_schema_max_mutex_instances | -1 | performance_schema_max_mutex_instances | -1 | 계측된 뮤텍스 인스턴스의 최대 수를 지정합니다. |
performance_schema_max_prepared_statements_instances | -1 | performance_schema_max_prepared_statements_instances | -1 | 계측된 준비 명령문의 최대 수입니다. | ||
performance_schema_max_program_instances | -1 | performance_schema_max_program_instances | -1 | 계측된 프로그램의 최대 수입니다. | ||
performance_schema_max_rwlock_classes | 40 | performance_schema_max_rwlock_classes | 60 | performance_schema_max_rwlock_classes | 50 | 최대 rwlock 기기 수를 지정합니다. |
performance_schema_max_rwlock_instances | 3073 | performance_schema_max_rwlock_instances | -1 | performance_schema_max_rwlock_instances | -1 | 계측된 rwlock 개체의 최대 수를 지정합니다. |
performance_schema_max_socket_classes | 10 | performance_schema_max_socket_classes | 10 | performance_schema_max_socket_classes | 10 | 최대 소켓 계측기 수를 지정합니다. |
performance_schema_max_socket_instances | 230 | performance_schema_max_socket_instances | -1 | performance_schema_max_socket_instances | -1 | 계측된 소켓 개체의 최대 수를 지정합니다. |
performance_schema_max_sql_text_length | 1024 | performance_schema_max_sql_text_length | 1024 | 표시되는 SQL 텍스트의 최대 길이입니다. | ||
performance_schema_max_stage_classes | 150 | performance_schema_max_stage_classes | 175 | performance_schema_max_stage_classes | 150 | 최대 스테이지 악기 수를 지정합니다. |
performance_schema_max_statement_classes | 178 | performance_schema_max_statement_classes | 219 | performance_schema_max_statement_classes | 193 | 최대 명령문 도구 수를 지정합니다. 사용 가능한 명령문 수에 따라 서버 빌드시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양수 값으로 변경해도 아무런 이점이 없으며 불필요한 메모리가 할당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자동 크기 조정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두어야합니다. 0으로 설정하면 모든 명령문 인스 트루먼 테이션이 사용 불가능하며이 목적으로 메모리가 할당되지 않습니다. |
performance_schema_max_statement_stack | 10 | performance_schema_max_statement_stack | 10 | EVENTS_STATEMENTS_CURRENT의 스레드당 행 수입니다. | ||
performance_schema_max_table_handles | 2858 | performance_schema_max_table_handles | -1 | performance_schema_max_table_handles | -1 | 열린 테이블 개체의 최대 수를 지정합니다. |
performance_schema_max_table_instances | 667 | performance_schema_max_table_instances | -1 | performance_schema_max_table_instances | -1 | 계측된 테이블 개체의 최대 수를 지정합니다. |
performance_schema_max_table_lock_stat | -1 | performance_schema_max_table_lock_stat | -1 | 계측된 테이블에 대한 최대 잠금 통계 수입니다. | ||
performance_schema_max_thread_classes | 50 | performance_schema_max_thread_classes | 100 | performance_schema_max_thread_classes | 50 | 최대 스레드 악기 수를 지정합니다. |
performance_schema_max_thread_instances | 288 | performance_schema_max_thread_instances | -1 | performance_schema_max_thread_instances | -1 | 실행 중인 서버 스레드( max_connections 및 max_delayed_threads 참조 )를 계측할 수 있는 수를 지정합니다. max_connections 및 max_delayed_threads의 합보다 커야 합니다. |
performance_schema_session_connect_attrs_size | 512 | performance_schema_session_connect_attrs_size | 512 | performance_schema_session_connect_attrs_size | 512 | 연결 속성 문자열을 보유하기 위해 스레드별로 사전 할당된 메모리입니다. 문자열이 예약된 공간보다 큰 경우 증가합니다. |
performance_schema_setup_actors_size | 100 | performance_schema_setup_actors_size | -1 | performance_schema_setup_actors_size | -1 | 성능 스키마 setup_actors 테이블 에 저장할 최대 행 수입니다 . |
performance_schema_setup_objects_size | 100 | performance_schema_setup_objects_size | -1 | performance_schema_setup_objects_size | -1 | 성능 스키마 setup_objects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는 최대 행 수입니다. |
performance_schema_show_processlist | OFF | |||||
performance_schema_users_size | 100 | performance_schema_users_size | -1 | performance_schema_users_size | -1 | performance_schema.users 테이블 의 행 수입니다 . 0으로 설정하면 성능 스키마 가 사용자 테이블에 연결 통계를 저장하지 않습니다. |
[MySQL][8.0.26] Global Status 설명 (0) | 2023.02.03 |
---|---|
MariaDB / MySQL 5.7 / MySQL 8.0 information_schema 의 Table 목록 비교 (0) | 2022.10.02 |
MariaDB / MySQL 5.7 / MySQL 8.0 performance_schema 비교 (0) | 2022.09.24 |
[MySQL] str_to_date 함수 설명(오류 내용) (0) | 2022.07.04 |
Window PC에 동일 버전 MySQL(MariaDB) 2개(다수)설치 방법 (0) | 2021.01.03 |
MySQL 종류 버전별 performance_schema 의 테이블 목록 비교 및 설명 입니다.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들은 붉은글자로 강조표시 하였습니다.
MariaDB 10.1.48 | MySQL 8.0.30 | MySQL 5.7.37 | Description |
accounts | accounts | accounts | 클라이언트 계정별 연결 통계 |
binary_log_transaction_compression_stats | 바이너리 로그 트랜잭션 압축 | ||
cond_instances | cond_instances | cond_instances | 동기화 개체 인스턴스 |
data_lock_waits | 데이터 잠금 대기 관계 | ||
data_locks | 보유 및 요청된 데이터 잠금 | ||
error_log | 서버 오류 로그 최근 항목 | ||
events_errors_summary_by_account_by_error | 계정당 오류 및 오류 코드 | ||
events_errors_summary_by_host_by_error | 호스트당 오류 및 오류 코드 | ||
events_errors_summary_by_thread_by_error | 스레드당 오류 및 오류 코드 | ||
events_errors_summary_by_user_by_error | 사용자당 오류 및 오류 코드 | ||
events_errors_summary_global_by_error | 오류 코드당 오류 | ||
events_stages_current | events_stages_current | events_stages_current | 현재 스테이지 이벤트 |
events_stages_history | events_stages_history | events_stages_history | 스레드당 가장 최근의 스테이지 이벤트 |
events_stages_history_long | events_stages_history_long | events_stages_history_long | 가장 최근의 스테이지 이벤트 전체 |
events_stages_summary_by_account_by_event_name | events_stages_summary_by_account_by_event_name | events_stages_summary_by_account_by_event_name | 계정별 스테이지 이벤트 및 이벤트명 |
events_stages_summary_by_host_by_event_name | events_stages_summary_by_host_by_event_name | events_stages_summary_by_host_by_event_name | 호스트 이름 및 이벤트 이름별 스테이지 이벤트 |
events_stages_summary_by_thread_by_event_name | events_stages_summary_by_thread_by_event_name | events_stages_summary_by_thread_by_event_name | 스레드 및 이벤트 이름당 스테이지 대기 |
events_stages_summary_by_user_by_event_name | events_stages_summary_by_user_by_event_name | events_stages_summary_by_user_by_event_name | 사용자 이름 및 이벤트 이름별 스테이지 이벤트 |
events_stages_summary_global_by_event_name | events_stages_summary_global_by_event_name | events_stages_summary_global_by_event_name | 이벤트 이름당 단계 대기 |
events_statements_current | events_statements_current | events_statements_current | 현재 이벤트 |
events_statements_histogram_by_digest | 스키마 및 다이제스트 값별 명령문 히스토그램 | ||
events_statements_histogram_global | 전역적으로 요약된 명령문 히스토그램 | ||
events_statements_history | events_statements_history | events_statements_history | 스레드당 가장 최근의 명령문 이벤트 |
events_statements_history_long | events_statements_history_long | events_statements_history_long | 가장 최근의 명세서 이벤트 전체 |
events_statements_summary_by_account_by_event_name | events_statements_summary_by_account_by_event_name | events_statements_summary_by_account_by_event_name | 계정별 명세서 이벤트 및 이벤트명 |
events_statements_summary_by_digest | events_statements_summary_by_digest | events_statements_summary_by_digest | 스키마별 명령문 이벤트 및 다이제스트 값 |
events_statements_summary_by_host_by_event_name | events_statements_summary_by_host_by_event_name | events_statements_summary_by_host_by_event_name | 호스트 이름 및 이벤트 이름별 명령문 이벤트 |
events_statements_summary_by_program | events_statements_summary_by_program | 저장 프로그램(함수/SP)당 명령문 이벤트 | |
events_statements_summary_by_thread_by_event_name | events_statements_summary_by_thread_by_event_name | events_statements_summary_by_thread_by_event_name | 스레드별 명령문 이벤트 및 이벤트 이름 |
events_statements_summary_by_user_by_event_name | events_statements_summary_by_user_by_event_name | events_statements_summary_by_user_by_event_name | 사용자 이름 및 이벤트 이름별 명령문 이벤트 |
events_statements_summary_global_by_event_name | events_statements_summary_global_by_event_name | events_statements_summary_global_by_event_name | 이벤트 이름당 명령문 이벤트 |
events_transactions_current | events_transactions_current | 현재 거래 이벤트 | |
events_transactions_history | events_transactions_history | 스레드당 가장 최근의 트랜잭션 이벤트 | |
events_transactions_history_long | events_transactions_history_long | 가장 최근의 거래 이벤트 전체 | |
events_transactions_summary_by_account_by_event_name | events_transactions_summary_by_account_by_event_name | 계정별 거래 이벤트 및 이벤트 이름 | |
events_transactions_summary_by_host_by_event_name | events_transactions_summary_by_host_by_event_name | 호스트 이름 및 이벤트 이름별 트랜잭션 이벤트 | |
events_transactions_summary_by_thread_by_event_name | events_transactions_summary_by_thread_by_event_name | 스레드별 트랜잭션 이벤트 및 이벤트 이름 | |
events_transactions_summary_by_user_by_event_name | events_transactions_summary_by_user_by_event_name | 사용자 이름 및 이벤트 이름별 트랜잭션 이벤트 | |
events_transactions_summary_global_by_event_name | events_transactions_summary_global_by_event_name | 이벤트 이름별 트랜잭션 이벤트 | |
events_waits_current | events_waits_current | events_waits_current | 현재 대기 이벤트 |
events_waits_history | events_waits_history | events_waits_history | 스레드당 가장 최근의 대기 이벤트 |
events_waits_history_long | events_waits_history_long | events_waits_history_long | 가장 최근의 대기 이벤트 전체 |
events_waits_summary_by_account_by_event_name | events_waits_summary_by_account_by_event_name | events_waits_summary_by_account_by_event_name | 계정 및 이벤트 이름별 대기 이벤트 |
events_waits_summary_by_host_by_event_name | events_waits_summary_by_host_by_event_name | events_waits_summary_by_host_by_event_name | 호스트 이름 및 이벤트 이름별 대기 이벤트 |
events_waits_summary_by_instance | events_waits_summary_by_instance | events_waits_summary_by_instance | 인스턴스당 대기 이벤트 |
events_waits_summary_by_thread_by_event_name | events_waits_summary_by_thread_by_event_name | events_waits_summary_by_thread_by_event_name | 스레드 및 이벤트 이름별 대기 이벤트 |
events_waits_summary_by_user_by_event_name | events_waits_summary_by_user_by_event_name | events_waits_summary_by_user_by_event_name | 사용자 이름 및 이벤트 이름별 대기 이벤트 |
events_waits_summary_global_by_event_name | events_waits_summary_global_by_event_name | events_waits_summary_global_by_event_name | 이벤트 이름별 대기 이벤트 |
file_instances | file_instances | file_instances | 파일 인스턴스 |
file_summary_by_event_name | file_summary_by_event_name | file_summary_by_event_name | 이벤트 이름당 파일 이벤트 |
file_summary_by_instance | file_summary_by_instance | file_summary_by_instance | 파일 인스턴스당 파일 이벤트 |
global_status | global_status | 전역 상태 변수 | |
global_variables | global_variables | 전역 시스템 변수 | |
host_cache | host_cache | host_cache | 내부 호스트 캐시의 정보 |
hosts | hosts | hosts | 클라이언트 호스트 이름당 연결 통계 |
innodb_redo_log_files | |||
keyring_component_status | 설치된 키링 구성 요소에 대한 상태 정보 | ||
keyring_keys | 키링 키에 대한 메타데이터 | ||
log_status | 백업용 서버 로그에 대한 정보 | ||
memory_summary_by_account_by_event_name | memory_summary_by_account_by_event_name | 계정 및 이벤트 이름별 메모리 작업 | |
memory_summary_by_host_by_event_name | memory_summary_by_host_by_event_name | 호스트 및 이벤트 이름별 메모리 작업 | |
memory_summary_by_thread_by_event_name | memory_summary_by_thread_by_event_name | 스레드 및 이벤트 이름당 메모리 작업 | |
memory_summary_by_user_by_event_name | memory_summary_by_user_by_event_name | 사용자 및 이벤트 이름별 메모리 작업 | |
memory_summary_global_by_event_name | memory_summary_global_by_event_name | 이벤트 이름당 전역 메모리 작업 | |
metadata_locks | metadata_locks | 메타데이터 잠금 및 잠금 요청 | |
mutex_instances | mutex_instances | mutex_instances | 뮤텍스 동기화 개체 인스턴스 |
objects_summary_global_by_type | objects_summary_global_by_type | objects_summary_global_by_type | 개체 요약 |
performance_timers | performance_timers | performance_timers | 사용 가능한 이벤트 타이머 |
persisted_variables | mysqld-auto.cnf 파일 내용 | ||
prepared_statements_instances | prepared_statements_instances | 준비된 명령문 인스턴스 및 통계 | |
processlist | 프로세스 목록 정보(show processlist 와 동일) | ||
replication_applier_configuration | replication_applier_configuration | 복제본의 복제 적용자에 대한 구성 매개변수 | |
replication_applier_filters | 현재 복제본에 대한 채널별 복제 필터 | ||
replication_applier_global_filters | 현재 복제본의 전역 복제 필터 | ||
replication_applier_status | replication_applier_status | 복제본의 복제 적용자의 현재 상태 | |
replication_applier_status_by_coordinator | replication_applier_status_by_coordinator | SQL 또는 조정자 스레드 적용자 상태 | |
replication_applier_status_by_worker | replication_applier_status_by_worker | 작업자 스레드 적용자 상태 | |
replication_asynchronous_connection_failover | 비동기 연결 장애 조치 메커니즘에 대한 소스 목록 | ||
replication_asynchronous_connection_failover_managed | 비동기식 연결 장애 조치 메커니즘을 위한 관리 소스 목록 | ||
replication_connection_configuration | replication_connection_configuration | 소스 연결을 위한 구성 매개변수 | |
replication_connection_status | replication_connection_status | 현재 소스 연결 상태 | |
replication_group_member_stats | replication_group_member_stats | 복제 그룹 구성원 통계 | |
replication_group_members | replication_group_members | 복제 그룹 구성원 네트워크 및 상태 | |
rwlock_instances | rwlock_instances | rwlock_instances | 동기화 개체 인스턴스 잠금 |
session_account_connect_attrs | session_account_connect_attrs | session_account_connect_attrs | 현재 세션당 연결 속성 |
session_connect_attrs | session_connect_attrs | session_connect_attrs | 모든 세션에 대한 연결 속성 |
session_status | session_status | 현재 세션의 상태 변수 | |
session_variables | session_variables | 현재 세션의 시스템 변수 | |
setup_actors | setup_actors | setup_actors | 새 포그라운드 스레드에 대한 모니터링을 초기화하는 방법 |
setup_consumers | setup_consumers | setup_consumers | 이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소비자 |
setup_instruments | setup_instruments | setup_instruments | 이벤트를 수집할 수 있는 계측 개체의 클래스 |
setup_objects | setup_objects | setup_objects | 모니터링해야 하는 개체 |
setup_threads | 계측된 스레드 이름 및 속성 | ||
setup_timers | setup_timers | ||
socket_instances | socket_instances | socket_instances | 활성 연결 인스턴스 |
socket_summary_by_event_name | socket_summary_by_event_name | socket_summary_by_event_name | 이벤트 이름당 소켓 대기 및 I/O |
socket_summary_by_instance | socket_summary_by_instance | socket_summary_by_instance | 소켓 대기 및 인스턴스당 I/O |
status_by_account | status_by_account | 계정당 세션 상태 변수 | |
status_by_host | status_by_host | 호스트 이름당 세션 상태 변수 | |
status_by_thread | status_by_thread | 세션당 세션 상태 변수 | |
status_by_user | status_by_user | 사용자 이름별 세션 상태 변수 | |
table_handles | table_handles | 테이블 잠금 및 잠금 요청 | |
table_io_waits_summary_by_index_usage | table_io_waits_summary_by_index_usage | table_io_waits_summary_by_index_usage | 인덱스당 테이블 I/O 대기 |
table_io_waits_summary_by_table | table_io_waits_summary_by_table | table_io_waits_summary_by_table | 테이블당 테이블 I/O 대기 |
table_lock_waits_summary_by_table | table_lock_waits_summary_by_table | table_lock_waits_summary_by_table | 테이블당 테이블 잠금 대기 |
threads | threads | threads | 서버 스레드에 대한 정보 |
tls_channel_status | 각 연결 인터페이스에 대한 TLS 상태 | ||
user_defined_functions | 등록된 로드 가능한 함수 | ||
user_variables_by_thread | 스레드당 사용자 정의 변수 | ||
users | users | user_variables_by_thread | 클라이언트 사용자 이름당 연결 통계 |
variables_by_thread | users | 세션당 세션 시스템 변수 | |
variables_info | variables_by_thread | 시스템 변수가 가장 최근에 설정되는 방식 |
MariaDB / MySQL 5.7 / MySQL 8.0 information_schema 의 Table 목록 비교 (0) | 2022.10.02 |
---|---|
MariaDB / MySQL 5.7 / MySQL 8.0 performance_schema 환경변수 비교 (2) | 2022.09.24 |
[MySQL] str_to_date 함수 설명(오류 내용) (0) | 2022.07.04 |
Window PC에 동일 버전 MySQL(MariaDB) 2개(다수)설치 방법 (0) | 2021.01.03 |
MySQL Scheduler(Agent) 설정 방법 (0) | 2020.08.29 |
✔️ 모듈 사용
import pandas as pd
import matplotlib
import numpy as np
from matplotlib import pyplot as plt
from matplotlib import font_manager as fm
from sqlalchemy import create_engine
import urllib.parse
✔️ 추가 설정
np.set_printoptions(precision=3) # 소수점 3번째 자리에서 반올림
pd.set_option('display.max_rows', None) # Row 생략없이 출력
pd.set_option('display.max_columns', None) # Column 생략없이 출력
pd.set_option('display.max_colwidth', None) # 컬럼의 내용이 길어도 생략없이 출력
pd.set_option('display.width', None)
pd.set_option('display.float_format', '{:.5f}'.format) # 8.500000e+01 이런 형식의 지수표현을 하고 싶지 않을 경우
✔️ 엑셀파일 불러오기
# Jupyter Notebook이 실행중인 서버의 파일만 불러올 수 있습니다.
# 절대 경로를 입력합니다.
# Sheet 이름은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
df_user_calc = pd.read_excel(r'D:\6월\유저지표_20220708.xlsx', sheet_name='user_calc');
✔️ 엑셀파일 내보내기
# Jupyter Notebook이 설치된 서버에 파일이 저장됩니다.
# 인덱스 컬럼은 내보내지 않습니다.
UserData.to_excel(r'd:\UserData.xlsx', sheet_name='UserData', index=False)
✔️ 기존 엑셀 파일에 Sheet를 추가하여 내보내기
with pd.ExcelWriter(r'D:\user_data\2022_유저통계.xlsx', engine='openpyxl', mode='a') as writer:
temp.to_excel(writer, sheet_name='2022_유저통계')
Jupyter Notebook - Group by key column (0) | 2023.06.02 |
---|---|
jupyter notebook - DB 접속 및 쿼리 실행 (0) | 2022.09.21 |
Jupyter notebook 이미지 추가 (0) | 2022.07.25 |
Jupyter Notebook 좌우 여백 최소화 (0) | 2022.07.23 |
✔️ 모듈 사용
import pandas as pd
import matplotlib
import numpy as np
from matplotlib import pyplot as plt
from matplotlib import font_manager as fm
from sqlalchemy import create_engine
import urllib.parse
✔️ 추가 설정
np.set_printoptions(precision=3) # 소수점 3번째 자리에서 반올림
pd.set_option('display.max_rows', None) # Row 생략없이 출력
pd.set_option('display.max_columns', None) # Column 생략없이 출력
pd.set_option('display.max_colwidth', None) # 컬럼의 내용이 길어도 생략없이 출력
pd.set_option('display.width', None)
pd.set_option('display.float_format', '{:.5f}'.format) # 8.500000e+01 이런 형식의 지수표현을 하고 싶지 않을 경우
✔️ DB 접속 및 쿼리 실행
# DB 접속 객체 생성
sqlEngine = create_engine("mysql+pymysql://root:Qwer1234%21%40%23%24@10.240.71.71:25000", encoding='utf8', pool_recycle=3600)
dbConnection = sqlEngine.connect() # DB 접속
user_data = pd.read_sql("select * from a209.user_info where user_id = 'a209' ", dbConnection); # 쿼리 실행
dbConnection.close() # 접속 종료
Jupyter Notebook - Group by key column (0) | 2023.06.02 |
---|---|
jupyter notebook - excel 불러오기 (0) | 2022.09.21 |
Jupyter notebook 이미지 추가 (0) | 2022.07.25 |
Jupyter Notebook 좌우 여백 최소화 (0) | 2022.07.23 |
Jupyter notebook에 이미지를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Jupyter notebook 버전 6.4.8)
1. 코딩으로 이미지 출력
명령창은 Code로 설정하고 아래와 같이 입력 후 실행하면 화면에 이미지가 표시됩니다..
코딩창이 보이기에 이쁘지는 않습니다.
from IPython.display import Image
Image('images/방수어사_라온테크_min.jpg')
✔️ 아래는 출력 결과입니다.
2. markdown으로 이미지 출력 - 1
코딩창을 Markdown으로 설정 후 아래와 같이 입력후 실행하시면 코딩영역 없이 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합니다.
# Markdown으로 설정 후 실행하면 이미지가 출력됩니다.

✔️ 출력 결과
3. markdown으로 이미지 출력 - Img 태그 사용
# Markdown에서 이미지 태그를 사용할 수 있고 스타일도 정의할 수 있습니다.
<img src="Images/방수어사_라온테크_min.jpg" style='margin-left:20px; width:700px; height:200px'>
✔️ 출력 결과
⭐ 본 이미지는 동생 창업기념으로 제가 레이저로 나무에 각인한 작품입니다.
Jupyter Notebook - Group by key column (0) | 2023.06.02 |
---|---|
jupyter notebook - excel 불러오기 (0) | 2022.09.21 |
jupyter notebook - DB 접속 및 쿼리 실행 (0) | 2022.09.21 |
Jupyter Notebook 좌우 여백 최소화 (0) | 2022.07.23 |
Jupyter Notebook QHD 해상도의 모니터에서는 최대 화면으로 실행하게되면 좌우 여백이 너무 넓어서 불편합니다.
아래 경로의 파일에서
C:\ProgramData\Anaconda3\Lib\site-packages\notebook\static\style\style.min.css
아래와 같이 수정 후 페이지를 새로고침 하시면
@media (min-width: 1200px) {
.container {
/* width: 1140px; -- 기존 코드는 주석처리 */
width: 98%; /* 가로폭의 98% 가득 차도록 설정 */
}
}
코딩 영역이 가로폭에 꽉 차서 표시됩니다.
Jupyter Notebook - Group by key column (0) | 2023.06.02 |
---|---|
jupyter notebook - excel 불러오기 (0) | 2022.09.21 |
jupyter notebook - DB 접속 및 쿼리 실행 (0) | 2022.09.21 |
Jupyter notebook 이미지 추가 (0) | 2022.07.25 |
파일명 혹은 변수에 '-'가 제거된 날짜값을 사용하게 되는데(20220715)
날짜 형식으로 변환할 때 MySQL 에서는 str_to_date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Y | 4자리 년도 | %T | hh:mm:ss |
%y | 2자리 년도 | %r | hh:mm:ss AM/PM |
%m | 2자리 월(01, 02, 10, 11 ...) | %M | 월 (영문 전체 March, July ...) |
%c | 월(1, 2, 10, 11 ...) | %b | 월 (영문 축약 Mar, Jul ...) |
%d | 2자리 일(01, 01, 10, 11 ...) | %W | 요일 (영문 전체 Monday, Thursday ...) |
%e | 일(1, 2, 10, 11 ...) | %a | 요일 (영문 축약 Mon, Thu ...) |
%H | 24시간제 시간 | ||
%l | 12시간제 시간 | ||
%i | 2자리 분 (05, 15 ...) | ||
%S | 2자리 초 (05, 15 ...) |
사용 방법은 위 포맷을 참고하여 아래와 같이 사용해 주시면 됩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이 31을 넘어가는 날짜가 입력되면 null을 출력하지만
4월31을 입력할 경우 4월30일 에서 하루 지난 5월1일을 출력하는 오류가 있습니다.
-- MySQL 5.7.37 / MySQL 8.0.23 / MariaDB 10.1.48 모두에서 아래와 같이 출력 됩니다.
select str_to_date(20220230, '%Y%m%d'); -- 2022-03-02 출력 (Error: 22년 2월은 28일 까지만 존재)
select str_to_date(20220430, '%Y%m%d'); -- 2022-04-30 출력
select str_to_date(20220431, '%Y%m%d'); -- 2022-05-01 출력 (Error: 4월은 30일 까지만 존재함)
select str_to_date(20220432, '%Y%m%d'); -- null 출력
select str_to_date(20220531, '%Y%m%d'); -- 2022-05-31 출력
select str_to_date(20220532, '%Y%m%d'); -- null 출력
입력된 날짜의 무결성이 중요하다면 함수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MariaDB / MySQL 5.7 / MySQL 8.0 performance_schema 환경변수 비교 (2) | 2022.09.24 |
---|---|
MariaDB / MySQL 5.7 / MySQL 8.0 performance_schema 비교 (0) | 2022.09.24 |
Window PC에 동일 버전 MySQL(MariaDB) 2개(다수)설치 방법 (0) | 2021.01.03 |
MySQL Scheduler(Agent) 설정 방법 (0) | 2020.08.29 |
MySQL 대량 ROW 조회 결과 파일 저장 및 불러오기 (0) | 2020.08.26 |
쿼리창에서 괄호를 열때 자동으로 닫음이 추가되어 불편하신 분들은 아래 옵션을 해제하시면 됩니다.
Editor > General > Smart Keys 메뉴에 들어가셔서.
[Datagrip] 쿼리 자동 포맷팅 해제 (0) | 2023.08.06 |
---|---|
[DataGrip] 쿼리에디터에 쿼리 실행 결과를 표시 (0) | 2023.07.13 |
[DataGrip] 에디터 화면의 세로줄 제거 (0) | 2023.07.13 |
[DataGrip] 조회 결과 자동 갱신 (0) | 2023.07.12 |
[DataGrip 설정] SP/함수 호출시 인자 설명(hint) 표시 설정 (0) | 2021.06.13 |
✔ Tencent 공식 문서 : https://tendbcluster.net/book-en/
✔ 설치 필요 사항
1. yum 패키지 업데이트
$ yum -y update
2. yum-utils 설치
$ sudo yum install -y yum-utils
3. Docker 저장소 등록
$ sudo yum-config-manager --add-repo https://download.docker.com/linux/centos/docker-ce.repo
4. Docker 버전 조회
$ yum list docker-ce --showduplicates | sort -r
5. 특정 버전의 Docker 설치
$ sudo yum install docker-ce-20.10.7-3.el7 docker-ce-cli-20.10.7-3.el7 containerd.io
6. 버전 확인
$ docker --version
7. 서비스 시작
$ systemctl start docker
$ systemctl enable docker
$ systemctl status docker
1. 설치 버전 확인
https://github.com/docker/compose/tags
https://github.com/docker/compose/releases/tag/1.27.4
2. usr/local/bin 폴더에 다운로드
$ sudo curl -L "https://github.com/docker/compose/releases/download/1.27.4/docker-compose-$(uname -s)-$(uname -m)" -o /usr/local/bin/docker-compose
3. 실행 권한 부여
$ sudo chmod +x /usr/local/bin/docker-compose
4. 심볼링링크 설정
$ sudo ln -s /usr/local/bin/docker-compose /usr/bin/docker-compose
5. 버전 확인
$ docker-compose --version
1. 설치할 버전 확인
https://github.com/helm/helm/releases?page=3
2. 다운로드
$ wget https://get.helm.sh/helm-v2.17.0-linux-amd64.tar.gz
3. 압축 해제
$ tar xvzf helm-v2.17.0-linux-amd64.tar.gz
4. 파일 이동
$ sudo cp linux-amd64/tiller /usr/local/bin
$ sudo cp linux-amd64/helm /usr/local/bin
5. 권한 설정
$ sudo chown root:docker /usr/local/bin/tiller
$ sudo chown root:docker /usr/local/bin/helm
6. 심볼릭 링크 설정
$ sudo ln -s /usr/local/bin/helm /usr/bin/helm
$ sudo ln -s /usr/local/bin/tiller /usr/bin/tiller
7. 버전 확인
$ helm version
$ tiller --version
1. 환경설정파일 다운로드
$ sudo curl -L "https://github.com/TenDBCluster/TenDBCluster-DockerCompose/archive/refs/heads/master.zip" -o tendbcluster-docker-compose.zip
2. 압축 해제
$ unzip tendbcluster-docker-compose.zip
3. 폴더명 변경
$ mv TenDBCluster-DockerCompose-master/ tendbcluster-docker-compose/
4. Docker 이미지 다운로드
$ cd tendbcluster-docker-compose && docker-compose pull
5. 이미지 마운트
$ docker-compose up -d
6. 상태 조회
$ docker ps -a
7. 노란색 영역의 Port 번호로 MySQL 접속 테스트
OS : CentOS7OS
접속 정보 : root / Qwer1234!@#$ , tspider / Qwer1234!@#$
Tspider 접속 정보 : tendbcluster / tendbclusterpass
Google Drive : https://drive.google.com/file/d/17AnTdSycpYfAJDCXOF2uz_XwwZQXeDqL/view?usp=sharing
파일 용량 정보 :
- 압축 : 2.5 GB
- 압죽 해제 : 10.9 GB
(1) 텐센트의 TSpider 소개 (2) | 2021.01.03 |
---|
데이터를 모으고 DB화하여 공유하는게 취미 입니다.
이번에는 다음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대한민국 환율정보를 모아봤습니다.
✳️ MySQL DB에 저장 후 백업 파일로 공유드립니다.
https://finance.daum.net/exchanges/FRX.KRWUSD
환율 상세 | 다음 금융
finance.daum.net
✅ 대상 국가
currencyCode | item_count | min_date | max_date | nation_name |
AED | 3837 | 2006-01-02 | 2021-06-18 | 아랍에미리트 |
AUD | 3837 | 2006-01-02 | 2021-06-18 | 호주 |
BDT | 3837 | 2006-01-02 | 2021-06-18 | 방글라데시 |
BHD | 3837 | 2006-01-02 | 2021-06-18 | 바레인 |
BND | 3837 | 2006-01-02 | 2021-06-18 | 브루나이 |
BRL | 3806 | 2006-01-02 | 2021-06-18 | 브라질 |
CAD | 3817 | 2006-01-02 | 2021-06-18 | 캐나다 |
CHF | 3837 | 2006-01-02 | 2021-06-18 | 스위스 |
CNY | 3827 | 2006-01-02 | 2021-06-18 | 중국 |
CZK | 1884 | 2013-11-01 | 2021-06-18 | 체코 |
DKK | 3820 | 2006-01-02 | 2021-06-18 | 덴마크 |
EGP | 3837 | 2006-01-02 | 2021-06-18 | 이집트 |
EUR | 3837 | 2006-01-02 | 2021-06-18 | 유로 |
GBP | 3836 | 2006-01-02 | 2021-06-18 | 영국 |
HKD | 3837 | 2006-01-02 | 2021-06-18 | 홍콩 |
HUF | 3311 | 2007-06-01 | 2021-06-18 | 헝가리 |
IDR | 3837 | 2006-01-02 | 2021-06-18 | 인도네시아 |
ILS | 3673 | 2006-01-02 | 2021-06-18 | 이스라엘 |
INR | 3817 | 2006-01-02 | 2021-06-18 | 인도 |
JOD | 3653 | 2006-01-02 | 2021-06-18 | 요르단 |
JPY | 3837 | 2006-01-02 | 2021-06-18 | 일본 |
KWD | 3837 | 2006-01-02 | 2021-06-18 | 쿠웨이트 |
KZT | 1884 | 2013-11-01 | 2021-06-18 | 카자흐스탄 |
MNT | 1884 | 2013-11-01 | 2021-06-18 | 몽골 |
MXN | 3837 | 2006-01-02 | 2021-06-18 | 멕시코 |
MYR | 3830 | 2006-01-02 | 2021-06-18 | 말레이시아 |
NOK | 3837 | 2006-01-02 | 2021-06-18 | 노르웨이 |
NZD | 3830 | 2006-01-02 | 2021-06-18 | 뉴질랜드 |
PHP | 3837 | 2006-01-02 | 2021-06-18 | 필리핀 |
PKR | 3827 | 2006-01-02 | 2021-06-18 | 파키스탄 |
PLN | 3321 | 2007-06-01 | 2021-06-18 | 폴란드 |
QAR | 1884 | 2013-11-01 | 2021-06-18 | 카타르 |
RUB | 3462 | 2006-11-08 | 2021-06-18 | 러시아 |
SAR | 3837 | 2006-01-02 | 2021-06-18 | 사우디 |
SEK | 3837 | 2006-01-02 | 2021-06-18 | 스웨덴 |
SGD | 3837 | 2006-01-02 | 2021-06-18 | 싱가포르 |
THB | 3837 | 2006-01-02 | 2021-06-18 | 태국 |
TRY | 1884 | 2013-11-01 | 2021-06-18 | 터키 |
TWD | 3816 | 2006-01-02 | 2021-06-18 | 대만 |
USD | 3837 | 2006-01-02 | 2021-06-18 | 미국 |
VND | 3485 | 2006-09-29 | 2021-06-18 | 베트남 |
ZAR | 3455 | 2006-11-17 | 2021-06-18 | 남아공 |
✅ 기간 : 2006-01-02 ~ 2021-06-18
✅ MySQL 백업 파일
코스피/코스닥 증시 데이터#20년#다음(1983-05-03 ~ 2017-12-28) (10) | 2019.04.07 |
---|---|
다음-코스닥 보유 현황 약10년치 (2007-02-23 ~ 2017-12-28) 데이터-CSV (0) | 2017.12.30 |
다음-코스닥 증시 약20년치 (1998-02-02 ~ 2017-12-28) 데이터-CSV (6) | 2017.12.29 |
다음-코스피 증시 약20년치 (1983-05-03 ~ 2017-11-07) 데이터-CSV추가 (7) | 2017.11.09 |
10년치 코스피 기업별 외국인/기관 보유 현황 (2007-02-23 ~ 2017-11-08) (4) | 2017.11.08 |
DataGrip 을 사용하다 보면 다양한 편의성 및 기능으로 인해 편리한 경우도 있지만, 의외로 불편한 경우도 많습니다.
sp/함수 인자의 이름이 표시되는 아래 기능이 그런 경우가 아닐까 싶습니다.
우측 설정시/비 설정시 이미지를 보시고 어떤 기능인지 확인해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기본은 활성화 입니다.
[Datagrip] 쿼리 자동 포맷팅 해제 (0) | 2023.08.06 |
---|---|
[DataGrip] 쿼리에디터에 쿼리 실행 결과를 표시 (0) | 2023.07.13 |
[DataGrip] 에디터 화면의 세로줄 제거 (0) | 2023.07.13 |
[DataGrip] 조회 결과 자동 갱신 (0) | 2023.07.12 |
[DataGrip] 자동완성 기능 해제 (괄호, 작은따옴표) (0) | 2022.07.03 |
TSpider 는 MariaDB의 Spider 엔진을 기반으로 텐센트에서 기능을 추가하여 수정한 엔진 입니다.
Spider 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 https://rastalion.me/spider-%EC%97%94%EC%A7%84%EC%9D%84-%EC%9D%B4%EC%9A%A9%ED%95%9C-%EC%83%A4%EB%94%A9-%ED%99%98%EA%B2%BD-%EA%B5%AC%EC%B6%95-01/
SPIDER 엔진을 이용한 샤딩 환경 구축 #01 - RastaLion's IT Blog
Spider 엔진? Spider 스토리지 엔진은 샤딩 기능이 내장 된 스토리지 엔진입니다. 파티셔닝 및 xa 트랜잭션을 지원하며 다른 MariaDB 인스턴스의 테이블을 마치 동일한 인스턴스에있는 것처럼 처리
rastalion.me
Spider 와 달리 TSpider에서는 샤드키를 정의하기위해 CRC32()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차이점 입니다.
crc32 함수를 통하여 문자형 컬럼도 샤드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pider | TSpider |
![]()
|
![]() |
![]()
|
또한 tdbcl 을 통하여 TSpider DB에서 일반적은 Create 구문을 실행하면 tdbcl이 자동으로 Spider 구문으로 변경하여
Spider DB에 테이블을 생성하며, 또한 자동으로 각 node 에 도 동일한 구조의 테이블을 생성 합니다.
이후 Spider DB에서 조회 쿼리등을 실행하여 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주소의 공식 문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 TenDB Cluster(TSpider) 공식 문서 : tendbcluster.net/book-en/
Introduction · TenDB Cluster Manual
No results matching ""
tendbcluster.net
✔ TenDB Cluster 구성도
✔ TSpider 구성도
다음으로는 TendbCluster(TSpider)를 Docker 환경으로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2) 텐센트 Tspider 설치방법 및 CentOS & Tspider 설치 이미지 (0) | 2021.11.22 |
---|
단일 PC에 동일 버전의 MySQL(MariaDB)을 2개 설치하기 위해서는 Installer 파일로는 설치가 되지 않습니다.
그럴경우 직접 기존 설치된 폴더를 복사하여 MySQL을 구동하는 방법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현재 제 노트북에는 MySQL 이 2개 , MariaDB 가 2개 설치되어 있습니다.
![]() |
![]() |
이 중 MySQL 8.0버전의 DB를 하다 더 설치 및 구동해 보겠습니다.
1. MySQL Server 8.0 설치 & 데이터 폴더 복사
- 총 2개 폴더를 복사하여 다른 이름으로 붙여넣기 해주셔야 합니다.
- 저는 _Sub_1 으로 복사하겠습니다.
✔ 프로그램 폴더
원본 | 복사 |
c:\Program Files\MySQL\MySQL Server 8.0\ | c:\Program Files\MySQL\MySQL Server 8.0_Sub_1\ |
![]() |
![]() |
✔ 데이터 폴더
원본 | 복사 |
c:\ProgramData\MySQL\MySQL Server 8.0\ | |
![]() |
![]() |
2. 복사한 데이터 폴더의 my.ini 수정
✔ port, report_port, datadir, basedir 항목의 값을 변경합니다. 4개 항목 외 기존 경로 및 port가 지정된 항목은 함께 수정해 주어야 합니다.
원본 | 복사 |
![]() |
![]() |
3. MySQL Install 명령어 실행 & 서비스 등록
✔ 복사한 프로그램 폴더로 이동하여 아래와 같이 Install 명령 실행
✔ [복사한프로그램폴더\bin\mysqld.exe] --install [서비스명] --defaults-file="복사한 데이터 폴더의 ini파일"
✔ Ex: "C:\Program Files\MySQL\MySQL Server 5.7\bin\mysqld.exe" --install MySQL57_25000 --defaults-file="F:\MySQL\MySQL Server 5.7_25000\my.ini"
4. 서비스 시작
✔ 서비스 탭에서 시작 버튼을 눌러 주시면 됩니다.
MariaDB / MySQL 5.7 / MySQL 8.0 performance_schema 비교 (0) | 2022.09.24 |
---|---|
[MySQL] str_to_date 함수 설명(오류 내용) (0) | 2022.07.04 |
MySQL Scheduler(Agent) 설정 방법 (0) | 2020.08.29 |
MySQL 대량 ROW 조회 결과 파일 저장 및 불러오기 (0) | 2020.08.26 |
MySQL DB-Link 구현을 위한 FEDERATED 엔진 활성화 및 테이블 생성 (2) | 2020.08.14 |
설명에 사용한 MySQL 버전 : 5.7.20
1. Scheduler 확인
show global variables like '%schedule%';
사용 가능할 경우 ON, 그렇지 않을 경우 OFF 로 표시 됩니다.
1-1. Scheduler 사용 설정
ini를 수정하게 되면 MySQL 을 재시작 해주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ini 수정 후 set global 명령어를 통해서
수동으로 설정을 변경해 주시면 됩니다. 추후 재시작 하게되면 그때부터는 ini의 설정에 따라서 동작 하게 됩니다.
ini 에 아래 구문을 추가합니다.
event_scheduler = 1
혹은
event_scheduler = ON
"1" 이나 "ON" 이나 동일하게 동작(설정) 됩니다.
1-2. Process 확인
show processlist;
Scheduler 설정을 정상적으로 완료하였을 경우 아래와 같이 event_scheduler 데몬이 접속 중임이 확인 됩니다.
2. Schedule 생성
◈ Schedule 은 DB에 종속되기에 명령을 실행할 DB가 선택된 상태에서 생성해야 합니다.
DROP EVENT IF EXISTS `calc_ranking`;
DELIMITER $
CREATE EVENT IF NOT EXISTS `calc_ranking`
ON SCHEDULE
EVERY 5 HOUR -- 5시간 마다 실행 (사용 가능 형식: second, minute, day)
STARTS '2020-01-01 00:00:00' -- 지정하지 않을 경우 현재 시간부터 5시간 경과 후에 첫 스케줄러가 동작됨
ON COMPLETION PRESERVE
ENABLE
COMMENT 'calc_profile_ranking'
DO
BEGIN
call test_procedure(1);
UPDATE tbl_test set action_status = 1;
END$
DELIMITER ;
- 매일 5시에 실행되는 작업을 만들고 싶을 경우 ON SCHEDULE 부분을 아래와 같이 수정 합니다.
ON SCHEDULE
EVERY 1 DAY -- 하루에 한번
STARTS '2020-01-01 05:00:00' -- 기준 시각이 05시 이기 때문에 매일 5시에 스케줄러 실행
- 특정 문서의 경우 매일 특정 시간에 실행되는 스케줄을 등록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구문을 사용하는데
그럴 필요 없이 과거 날짜의 특정 시간을 시작시간으로 설정하면 해당 시간 을 기준으로 하루에 한번 실행 됩니다.
STARTS (TIMESTAMP(CURRENT_DATE) + INTERVAL 1 DAY + INTERVAL 1 HOUR)
3. Schedule 확인
◈ Schedule 은 DB에 종속되기에 명령을 실행할 DB가 먼저 선택되어 있어야 합니다.
SHOW EVENTS; -- 현재 선택된 DB에 등록된 Schedule을 조회 합니다.
or
SELECT * FROM information_schema.EVENTS; -- 모든 DB에 등록된 설정을 조회 합니다.
- Schedule 등록 스크립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HOW CREATE EVENT `Schedule Name`;
SHOW CREATE EVENT `calc_ranking`;
- Create Event 컬럼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CREATE DEFINER=`root`@`%` EVENT `calc_ranking`
ON SCHEDULE EVERY 5 HOUR STARTS '2020-01-01 00:00:00'
ON COMPLETION PRESERVE ENABLE COMMENT 'calc_profile_ranking'
DO BEGIN
call test_procedure(1);
UPDATE tbl_test set action_status = 1;
END
4. 삭제
DROP event `이벤트명`;
DROP EVENT `calc_ranking`;
이상 입니다.
[MySQL] str_to_date 함수 설명(오류 내용) (0) | 2022.07.04 |
---|---|
Window PC에 동일 버전 MySQL(MariaDB) 2개(다수)설치 방법 (0) | 2021.01.03 |
MySQL 대량 ROW 조회 결과 파일 저장 및 불러오기 (0) | 2020.08.26 |
MySQL DB-Link 구현을 위한 FEDERATED 엔진 활성화 및 테이블 생성 (2) | 2020.08.14 |
MySQL / MariaDB Slow Query Log 활성화 및 로그를 테이블에 기록 (0) | 2020.07.07 |
특정 테이블의 조회 결과(대량 ROW)를 파일로 저장하고
저정된 결과 파일을 다시 DB(Table)로 저장하는 방법 입니다.
대량의 Row(수백 MB)이기 때문에 쿼리를 통한 Insert가 아닌 load data 명령을 통해 수행 합니다.
▼ 대상 테이블 구조
▼ 다량의 조회 결과를(1000만건) 파일로 저장하는 쿼리 입니다.
select * from tbl_user_mode_score limit 10000000
INTO OUTFILE 'e:\query_result_1000man.txt'
FIELDS TERMINATED BY '\t'
ENCLOSED BY ''
LINES TERMINATED BY '\n';
- 조회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Field 와 Field 는 탭으로 구분)
▼ 위 조회 결과를 별도 Table에 저장하는 방법 입니다.
1. 데이터를 저장할 DB에 조회 내용과 동일한 구조의 테이블을 생성 합니다.
2. cmd 창에서 mysql 콘솔에 접속 합니다.
3.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여 데이터를 입력 합니다.
load data infile 'e:/query_result_1000man.txt' into table tbl_user_mode_score ( usn, mode_idx, win_cnt, lose_cnt, last_play_date ) ;
- 입력 완료시 메시지 : 입력 건수 및 오류 상황이 표시 됩니다.
이상 입니다.
Window PC에 동일 버전 MySQL(MariaDB) 2개(다수)설치 방법 (0) | 2021.01.03 |
---|---|
MySQL Scheduler(Agent) 설정 방법 (0) | 2020.08.29 |
MySQL DB-Link 구현을 위한 FEDERATED 엔진 활성화 및 테이블 생성 (2) | 2020.08.14 |
MySQL / MariaDB Slow Query Log 활성화 및 로그를 테이블에 기록 (0) | 2020.07.07 |
MySQL Index 정보 조회 (key column 을 한줄로 표시) (0) | 2020.07.07 |
Oracle 과 MSSQL에 있는 DB Link 서비스를 MySQL에서 지원하는 FEDERATED 엔진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방법 입니다.
1. 설치되어 있는 엔진 확인
- CentOS에서 yum 으로 설치했을때 기본적으로 사용 가능한 엔지들의 목록 입니다.
2. 엔진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
3. FEDERATED 엔진의 설치여부 확인
- FEDERATED 엔진이 목록에 표시되지만 사용 가능하지 않은 상태 입니다.
4. 엔진 사용 가능 하도록 my.cnf 수정
- [mysqld] 하위에 federated 항목을 추가 합니다.
5. 엔진의 상태를 확인 합니다.
- FEDERATED 엔진의 Support 상태가 YES 로 변경 되었습니다.
----------------------------- FEDERATED 엔진을 사용하여 테이블을 생성하여 원격지 테이블과 연결 -------------------------
1. 원격지에 테이블을 생성 합니다.
- 실제 데이터가 입력되는 테이블 입니다.
- 데이터 폴더에는 .frm(구조) / .ibd(데이터) 파일이 생성 됩니다.
CREATE TABLE `cityholic_db`.`cart_product` (
`id` bigint(20) NOT NULL AUTO_INCREMENT COMMENT '아이디',
`users_id` bigint(20) unsigned NOT NULL COMMENT '고객아이디',
`product_id` bigint(20) NOT NULL COMMENT '상품아이디',
`option_code` varchar(50) NOT NULL COMMENT '상품옵션코드',
`quantity` int(11) NOT NULL DEFAULT '0' COMMENT '상품 개수',
PRIMARY KEY (`users_id`,`product_id`,`option_code `),
UNIQUE KEY `id_UNIQUE` (`id`)
) ENGINE=InnoDB DEFAULT CHARSET=utf8 COMMENT='카트에 담긴 상품';
◈ 만약 원격지 DB의 비밀번호에 특수문자'@' 를 사용하는 경우 2번 방식으로는 테이블을 생성할 수 없으니
2번을 제외하고 3번 항목부터 진행해 주시면 됩니다.
2. 로컬에 테이블을 생성 합니다.
- 원격지의 테이블을 참조하기 위한 테이블 입니다
- 데이터 폴더에는 .frm(구조) 파일만 생성 됩니다.
CREATE TABLE `cityholic_db`.`cart_product` (
`id` bigint(20) NOT NULL AUTO_INCREMENT COMMENT '아이디',
`users_id` bigint(20) unsigned NOT NULL COMMENT '고객아이디',
`product_id` bigint(20) NOT NULL COMMENT '상품아이디',
`option_code` varchar(50) NOT NULL COMMENT '상품옵션코드',
`quantity` int(11) NOT NULL DEFAULT '0' COMMENT '상품 개수',
PRIMARY KEY (`users_id`,`product_id`,`option_code `),
UNIQUE KEY `id_UNIQUE` (`id`)
) ENGINE=FEDERATED DEFAULT CHARSET=utf8 COMMENT='카트에 담긴 상품'
CONNECTION='mysql://root:dldusrn1@10.3.0.27:3306/cityholic_db/cart_product';
- CONNECTION 옵션의 구성 = 'mysql://[계정]:[비밀번호]@[서버ip]:[port]/[원격지DB명]/[원격지 테이블명]'
- Pass 에서 특수문자 '@' 를 사용하는 경우 아래와 같이 테이블 생성시 오류가 발생합니다.
3. 테이블 생성시 사용할 SERVER 개체를 생성 합니다.
1 2 3 | CREATE SERVER [서버명] FOREIGN DATA WRAPPER mysql OPTIONS (USER 'root', PASSWORD 'XXXX@XXXX', HOST '192.168.197.128', PORT 3306, DATABASE 'db_link_test'); | cs |
- 생성된 서버 정보를 조회합니다.
1 | SELECT * FROM mysql.servers; | cs |
4. 생성된 서버로 테이블을 생성 합니다.
- 로컬에 생성하는 테이블과 원격지 테이블이 동일하다면 CONNECTION 옵션에서 테이블명은 생략 가능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 CREATE TABLE `cityholic_db`.`cart_product` ( `id` bigint(20) NOT NULL AUTO_INCREMENT COMMENT '아이디', `users_id` bigint(20) unsigned NOT NULL COMMENT '고객아이디', `product_id` bigint(20) NOT NULL COMMENT '상품아이디', `option_code` varchar(50) NOT NULL COMMENT '상품옵션코드', `quantity` int(11) NOT NULL DEFAULT '0' COMMENT '상품 개수', PRIMARY KEY (`users_id`,`product_id`,`option_code `), UNIQUE KEY `id_UNIQUE` (`id`) ) ENGINE=FEDERATED DEFAULT CHARSET=utf8 COMMENT='카트에 담긴 상품' CONNECTION='[서버명]/cart_product'; | cs |
>> . 이상 모든 설정을 완료 했다면 로컬에서 원격지의 Table을 로컬 테이블 처럼 사용 가능합니다. select, insert, update, delete 모두 가능 합니다.
MySQL Scheduler(Agent) 설정 방법 (0) | 2020.08.29 |
---|---|
MySQL 대량 ROW 조회 결과 파일 저장 및 불러오기 (0) | 2020.08.26 |
MySQL / MariaDB Slow Query Log 활성화 및 로그를 테이블에 기록 (0) | 2020.07.07 |
MySQL Index 정보 조회 (key column 을 한줄로 표시) (0) | 2020.07.07 |
MySQL 복원 (0) | 2020.02.22 |
MySQL / MariaDB에서 Slow Query Log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과 실시간으로 변경 가능한 Variable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Slow Query Log를 테이블로 관리하는것을 좋아합니다. 실행된 쿼리 검색 및 통계내가가 편리하기 때문입니다.
아래 3개의 쿼리를 실행하여 설정 가능한 변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쿼리 결과 |
show global variables like '%slow%'; show global variables like '%long%'; show global variables like '%log_output%'; |
![]() ![]() ![]() |
>> my.ini 파일 수정 : 노란색 영역의 3개 항목을 추가하신 후 MySQL / MariaDB 서비스를 재시작해주시면 됩니다.
set global 쿼리를 사용해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long_query_time 변수는, 쿼리로는 변경은 가능하지만 실제 반영은 안 되고 있기에 ini 파일에서 설정해 주셔야 합니다.
![]() |
![]() slow_query_log, log_output 은 운용 중인 상태에서 서비스 재시작 없이 설정 변경이 가능하며 즉시 해당 설정이 적용됩니다. |
![]() |
>> 테이블에 기록된 Slow Query 결과입니다.
MySQL 대량 ROW 조회 결과 파일 저장 및 불러오기 (0) | 2020.08.26 |
---|---|
MySQL DB-Link 구현을 위한 FEDERATED 엔진 활성화 및 테이블 생성 (2) | 2020.08.14 |
MySQL Index 정보 조회 (key column 을 한줄로 표시) (0) | 2020.07.07 |
MySQL 복원 (0) | 2020.02.22 |
조회 결과를 CSV 파일로 출력 (0) | 2017.12.3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select ta.table_name
, index_name, max(tb.constraint_type) INDEX_DESCRIPTION
, concat_ws(', ', max(col_1), max(col_2), max(col_3), max(col_4), max(col_5)
, max(col_6), max(col_7), max(col_8), max(col_9), max(col_10)) INDEX_KEYS
from (
select table_schema, `table_name`
, (CONSTRAINT_NAME) INDEX_NAME
, ('') INDEX_DESCRIPTION
, (case ordinal_position when 1 then column_name else null end) col_1
, (case ordinal_position when 2 then column_name else null end) col_2
, (case ordinal_position when 3 then column_name else null end) col_3
, (case ordinal_position when 4 then column_name else null end) col_4
, (case ordinal_position when 5 then column_name else null end) col_5
, (case ordinal_position when 6 then column_name else null end) col_6
, (case ordinal_position when 7 then column_name else null end) col_7
, (case ordinal_position when 8 then column_name else null end) col_8
, (case ordinal_position when 9 then column_name else null end) col_9
, (case ordinal_position when 10 then column_name else null end) col_10
from information_schema.KEY_COLUMN_USAGE
where table_schema = 'db_schema' and `table_name` like '%info%'
) ta
left join information_schema.table_constraints tb
on ta.table_schema = tb.table_schema and ta.`table_name` = tb.`table_name` and ta.index_name = tb.constraint_name
group by ta.table_name, index_name
order by ta.table_name, index_name asc
;
|
cs |
MySQL DB-Link 구현을 위한 FEDERATED 엔진 활성화 및 테이블 생성 (2) | 2020.08.14 |
---|---|
MySQL / MariaDB Slow Query Log 활성화 및 로그를 테이블에 기록 (0) | 2020.07.07 |
MySQL 복원 (0) | 2020.02.22 |
조회 결과를 CSV 파일로 출력 (0) | 2017.12.30 |
Raspberry 에서 사용하는 MariaDB 백업 Shell Script 입니다. (0) | 2017.11.03 |
온도/습도 등의 기상 데이터를 LabVIEW를 통해 DB에 저장하고 싶다는 문의에 대한 답변 입니다.
Q : 온도/습도 등의 몇개의 기상데이터가 10초마다 몇달을 txt파일로 저장하는데,
DB를 쓰면 특정 구간의 평균/최대/최소 등의 통계 혹은 rawdata 값을 쉽게 뽑아 낼 수 있는지요?
A : 날짜 컬럼으로 Index(목ㅊ, 색인) 가 걸려 있다면 특정 날짜 구간의 데이터를 빠르게 추출 및 통계(MIN, AVG, MAX 등)도 빠르게 계산이 가능 합니다.
어떤 DB를 사용해야 좋을 지 문의하신다면 결론부터 말해서 MSSQ(Express) 버전으로 시작하시길 권해드립니다.
Express 버전의 경우 개인사용자는 무료이고 MSSQL 자체가 GUI 환경이어 타 DB에 비해 설치 및 운용이 간편하여
접근성이 좋습니다. 물론 성능도 타 DB에 비해 절~대 뒤떨어 지지 않습니다.
MSSQL 단점 은
- Windos 계열의 OS 에서 (만?) 설치 및 운용이 가장 편리합니다.
물론 리눅스에도 설치가 가능하다는데, 직접 설치해 본 적이 없어서, 설치 난이도가 어떤지 알지 못합니다.
https://docs.microsoft.com/ko-kr/sql/linux/sql-server-linux-setup?view=sql-server-ver15
SQL Server on Linux 설치 지침 - SQL Server
SQL Server on Linux를 설치, 업데이트 및 제거합니다. 이 문서에서는 온라인, 오프라인 및 무인 시나리오를 설명합니다.
docs.microsoft.com
------------------------------------------------------ LabVIEW ------------------------------------------------------
LabVIEW : https://www.ni.com/ko-kr.html
자동화 테스트 및 자동화 측정 시스템 - National Instruments
업계 최고의 측정 정확성을 제공하면서 비용, 설계 및 디바이스 관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NI 반도체 테스트 솔루션을 만나보십시오.
www.ni.com
LabVIEW 와 DB를 연동하려면 애드온을 구매해야 한다는군요.
------------------ 아래 1번 부터 4번 까지 진행하시면 테스트 환경 구축은 가능하시리라 생각 됩니다. ---------------
1. MSSQL Express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 블로그 입니다. (퍼왔습니다.)
https://eine.tistory.com/entry/Microsoft-SQL-Server-2019-Express-%EC%84%A4%EC%B9%98
Microsoft SQL Server 2019 Express 설치 + SSMS
MS-SQL 설치 MS-SQL을 써야 할 일이 생겨서 한번 설치해보자. 테스트용으로만 필요하기 때문에 무료 테스트용 버전인 Express를 설치해보도록 하겠다. https://www.microsoft.com/ko-kr/sql-server/sql-server-dow..
eine.tistory.com
2. MSSQL DB 관리툴 입니다.
SSMS(SQL Server Management Studio)
SSMS(SQL Server Management Studio) 다운로드 -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SSMS)
최신 버전의 SSMS(SQL Server Management Studio)를 다운로드합니다.
docs.microsoft.com
3. 설치 완료 후 DB 생성 및 DB 사용 계정 생성 방법 입니다. (퍼왔습니다.)
https://server-talk.tistory.com/248
MSSQL 데이터베이스(DB) 생성과 새 로그인 사용자 추가
MSSQL 데이터베이스(DB) 생성과 새 로그인 사용자 추가 알아보기 이번에는 MSSQL에서 데이터베이스(DB) 생성과 계정생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글 : Windows SQL Server 2014 Express 설치 - http://serv..
server-talk.tistory.com
https://guslabview.tistory.com/66
[LabVIEW] MSSQL UDL 파일 생성 및 랩뷰와 연동 하기
[LabVIEW] MSSQL UDL 파일 생성 및 랩뷰와 연동 하기 이 글에서는 LabVIEW와 MSSQL을 연동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랩뷰에서 손쉽게 DB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UDL 파일이 필요합니다. UDL 파일은 U..
guslabview.tistory.com
기타 문의 사항은 게시판에 남겨 주세요.
CAP 이론 도식화 자료 (0) | 2025.02.22 |
---|---|
상황에 맞는 그래프 선 (0) | 2023.01.02 |
JOIN 종류 도식화 (0) | 2018.08.09 |
일련 번호 중 빠진 번호 조회 (0) | 2017.09.18 |
세미나 동영상 [최적 데이터 구조 설계]-다운 가능 (0) | 2015.09.20 |